항목 ID | GC04205117 |
---|---|
한자 | 慶星大學校博物館 |
영어의미역 | Gyeongseong University Museum |
분야 | 문화·교육/교육 |
유형 | 지명/시설 |
지역 | 부산광역시 남구 수영로 309[대연동 314-81]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백승옥 |
[정의]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동 경성대학교에 있는 박물관.
[건립 경위]
경성대학교 박물관은 발굴 조사한 유물들을 전문 연구자들뿐 아니라 일반 학생도 이용하게 하여 학문 연구의 증진을 뒷받침하고 나아가 일반 시민 교육에도 일익을 담당하고자 1972년 설립하였다.
[변천]
1972년 3월 부산직할시 영도구 영선동 소재 한성여자초급대학 박물관으로 발족하였다. 초대 박물관장은 황윤영이 역임하였다. 1973년 부산직할시 남구 대연동 캠퍼스로 이전하였고, 1979년 3월 부산산업대학[4년제]으로 승격 후, 부산산업대학 박물관으로 변경되었다. 1984년 3월 부산산업대학교[종합 대학교]로 승격 후, 부산산업대학교 박물관으로 변경되었다. 최낙선 교수 소장의 민속자료 기증으로 민속자료실을 개관하였다. 1988년 5월 경성대학교로 교명이 변경됨에 따라 경성대학교 박물관으로 변경하였다. 2001년 2월 제1종 전문 박물관으로 문화관광부로부터 등록 승인[제194호]을 받았다.
[활동 사항]
경성대학교 박물관 전시실에는 각종의 유물들을 통해 선사 시대부터 근대까지의 역사와 문화를 체계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전시하고 있다. 특히, 삼국 시대 유물은 박물관에서 발굴 조사한 김해 대성동 고분군을 비롯한 금관가야 유적에서의 출토품들이다. 이들 유물 가운데 토기를 통해서는 금관가야의 태동에서 쇠퇴에 이르는 변화상을 볼 수 있으며, 그 밖에 철기 유물과 장신구류, 각종의 희귀 유물들은 금관가야의 문화를 보여주고 있다. 민속자료는 최낙선 교수가 기증한 유물들을 중심으로 하여 조선 시대부터 근대에 이르는 서민들의 의식주 생활상과 농촌 생활상을 살펴봄으로써 우리 문화의 뿌리를 느낄 수 있도록 하였다.
[현황]
경성대학교 박물관은 문화관 1층과 2층에 있으며 총 면적은 1,418㎡이다. 1층에는 학예연구실[74.5㎡]·전시실[383.4㎡]·종합수장실[29.5㎡]이, 2층에는 발굴유물수장실[162㎡]·민속유물수장실[697.2㎡]·정리실[97.2㎡]·보존과학실[64.8㎡]·자료실[32.4㎡]·기자재실[32.4㎡]이 있다. 소장 유물은 총 1만 216점이다. 월요일부터 토요일까지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 관람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