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갑오갑보사단비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5069
한자 甲午甲補寺壇碑
영어의미역 Stone Monument for Gabo Gabosa
분야 종교/불교
유형 유적/비
지역 부산광역시 금정구 범어사로 250[청룡동 546]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정미숙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비|갑계비|보사비
재질 자연석
크기 75㎝[너비]|396㎝[높이]
소유자 범어사
관리자 범어사
건립 시기/일시 1947년 5월연표보기 - 건립
현 소재지 범어사 - 부산광역시 금정구 범어사로 250[청룡동 546]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금정구 청룡동 범어사에 있는 범어사 갑계의 활동을 기록한 비.

[개설]

갑계(甲契)란 불교 사찰에 거주하는 동갑 또는 비슷한 연령의 승려들이 조직했던 계를 가리킨다. 동갑계(同甲契)라고도 한다. 사찰계의 한 형태로, 큰 사찰에는 10여 종 이상의 사원계가 동시에 조직되어 있기도 하였다. 계원이 승려만으로 구성되고 그 목적이 보사(補寺)[사찰을 지원함]에 있었던 계로는 갑계·도종계(都宗契)·사종계(私宗契)·어산계(魚山契) 등이 있었는데, 그중 갑계의 활동이 가장 활발하였다.

[건립 경위]

1947년 범어사 승려들이 갑오갑계(甲午甲契)를 조직하였다. 이들은 논 70마지기[斗落]와 돈 5,000원(圓)을 헌납하였다. 여기에는 39명의 승려가 참여하였고, 도감(都監)[책임자]은 용호(龍浩)가 맡았다. 갑오갑보사단비(甲午甲補寺壇碑)는 이러한 내용을 기록하여 1947년 5월에 세운 것이다.

[위치]

부산 범어사 조계문과 천왕문 사이의 비림(碑林)에 있다.

[형태]

자연석으로 너비 75㎝, 높이 396㎝이다.

[금석문]

“갑오갑보사단. 환운당 해관, 영월당 경옥, 석산당 재옥, 학봉당 봉구, 학명당 성언, 활해당 용준, 기봉당 상은, 남계당 응오, 동파당 봉찬, 전 주지 운호당 상명, 만허당 상기, 해암당 명오, 전 감무 일운당 홍식, 진월당 성준, 설해당 수호, 영제당 충념, 용운당 상우, 서운당 용호, 전 주지 영담당 경주, 남호당 경홍, 청담당 태우, 청오당 봉준, 덕월당 병주, 포월당 종기, 금암당 인권, 청호당 영기, 영산당 은택, 청운당 태삼, 보봉당 한기, □[전] 주지 능허당 수근, 송파당 병준, 전 감무 석우당 영규, 송재당 계운, 춘산당 석이, 전 감무 범산당 법린, 응해당 원석, 금파당 긍상, 환허당 병율, 논 70마지기와 돈 5,000원을 헌납하다. 불기 2974년 정해 5월 일, 도감 서운당 용호.[甲午甲補寺壇 幻雲堂海管 永月堂敬玉 石山堂在玉 鶴峰堂鳳九 鶴鳴堂聖彦 活海堂龍俊 奇峰堂相殷 南溪堂應悟 桐坡堂奉贊 前住持雲湖堂相明 萬虛堂相琦 海菴堂明悟 前監務一雲堂洪植 震月堂聖俊 雪海堂守浩 永濟堂忠念 龍雲堂祥佑 瑞雲堂龍浩 前住持映潭堂敬注 南湖堂敬弘 淸潭堂台祐 靑梧堂奉俊 德月堂炳周 抱月堂鐘騎 錦菴堂仁權 靑湖堂永碕 映山堂殷澤 淸雲堂台三 寶峰堂漢琦 □住持凌虛堂壽近 松坡堂炳俊 前監務石牛堂永奎 松齋堂啓雲 春山堂碩伊 前監務梵山堂法麟 應海堂元錫 今坡堂亘祥 幻虛堂炳律 獻畓七十斗地 獻金五千圓也 佛紀二九七四年 丁亥五月日 都監瑞雲堂龍浩.]”

[의의와 평가]

범어사는 조선 후기부터 갑계의 활동이 가장 활발했던 사찰로, 갑오갑보사단비는 해방 직후 범어사 갑계의 상황을 잘 보여 주는 자료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