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부산항」[우에노]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4455
한자 釜山港
영어의미역 Busan Harbor[Ueno]
분야 지리/인문 지리,역사/근현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물/서화류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양미숙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고지도
작가 우에노
서체/기법 인쇄본[영인본]
제작 시기/일시 1905년연표보기 - 우에노가 제작

[정의]

1905년 우에노가 그린 부산항 지도.

[개설]

개항기 부산의 지도에서 보이는 부산 앞바다의 수심이 표기되어 있고 해안선 주변의 산은 등고선으로 그려 놓았다. 지도의 제작년도를 감안해보면 북항의 매축이 어느 정도 이뤄져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형태 및 구성]

우에노가 그린 「부산항(釜山港)」 지도는 인쇄본[영인본] 형태로, 원본이 프랑스에 있어서 크기는 알 수 없다. 지도 전체에 격자로 위도와 경도를 표시하였고 상단의 오른쪽과 왼쪽에 부산 지역의 사진을 붙여놓았다. 왼쪽 상단의 사진은 용미산, 용두산, 초량에 이르는 해안을 찍은 것으로, 용두산의 빽빽한 소나무와 용두산 아래의 일식 가옥, 해안에 정박된 배들의 모습을 볼 수 있다.

오른쪽 상단 사진에는 영가대(永嘉臺) 앞으로 놓인 철도와 그 주변의 조선인들이 사는 초가집이 즐비해 있는 모습을 담았다. 용두산을 중심으로 일본인 전관 거류지의 도로가 정비되어 있는 것이 상세하게 묘사되어 있다. 일본인 전관 거류지 바깥의 현재 보수동과 부민동은 점선으로 그려져 있어 개발될 예정임을 짐작할 수 있다. 지도 곳곳의 지명 표기에 영어와 한자가 함께 사용된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해안으로 흐르는 천(川)의 지류가 표시되어 있어 복개되기 전 부산 지역 하천의 위치와 현황을 파악할 수 있다.

[특징]

「부산항」은 개항기 부산을 그린 다른 지도와 달리 부산의 산을 등고선으로 표시하고 있어 산의 높이와 경사를 추정할 수 있다. 지도 상단에 있는 사진은 일본인 거주 지역과 조선인 거주 지역을 대비시켜, 일본인과 조선인의 주거 공간이 다르고 주거 양식이 다름을 보여주고 있다.

[의의와 평가]

1905년은 북항의 매축이 어느 정도 진행된 시기로, 「부산항」은 북항을 제외한 부산의 원래 해안선과 하천 산세를 확인할 수 있는 지도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