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대동여지도』 「동래부·기장현 지도」[19세기, 규장각](2)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4446
한자 大東輿地圖東萊府機張縣地圖
영어의미역 Daedongyeojido Map of Dongnae-bu and Gijanghyeon[Detailed Map of Korea. Gyujanggak Library]
분야 지리/인문 지리,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물/서화류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김기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고지도
서체/기법 채색 필사
관리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현 소장처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599

[정의]

조선 후기 『대동여지도』 모사본에 수록된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소장 동래부·기장현 일대 지도.

[개설]

1861년 『대동여지도』가 제작된 이후 이를 바탕으로 여러 모사본이 제작되었는데,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소장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 「동래부·기장현 지도(東萊府機張縣地圖)」는 원 지도의 내용을 수정하지 않고 그대로 옮긴 것이다. 지명과 산지, 하천의 모습이 상세하고 정확하게 모사되는 등 규장각 한국학연구원의 다른 소장본에 비해 지도 모사 수준이 높다.

[형태 및 구성]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소장 『대동여지도』 「동래부·기장현 지도」는 가채 목판본이며, 크기는 670.0×380.0㎝이다. 지도의 내용은 원본과 거의 동일하다. 부산만영가대(永嘉臺)와 함께 절영도, 태종대, 고지도, 다가리, 목도, 형제도 등이 묘사되어 있다.

[특징]

바다는 청색으로 채색되었고, 해안의 도서도 섬 주위를 가채하여 실감나는 표현을 시도하였다. 산지와 도로 및 하천은 검은색으로 묘사되어 있다. 군현 경계와 봉수대는 적색으로 채색되었다. 구봉의 경우 봉수 표시가 누락되어 있다. 읍치와 경상 좌수영, 첨사·만호영은 적색의 테두리에 황색으로 채색하였다. 초량 왜관은 별도의 가채를 하지 않았다.

[의의와 평가]

『대동여지도』 제작 이후의 지도 보급 과정을 알게 해 주는 지도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