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지사동 제철 유적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4422
한자 智士洞製鐵遺蹟
영어의미역 Iron Production Remains in Jisa-dong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유적(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강서구 지사동 556|777|926|927|928|929|930|936|937|991
시대 고려/고려,조선/조선
집필자 홍보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제철 유적
크기 120㎝[원형 제련로 직경]
소유자 개인
관리자 강서구청
발굴 조사 시기/일시 1997년 3월~4월연표보기 - 동아대학교 박물관에서 지표 조사 실시
발굴 조사 시기/일시 2002년 8월~2003년 3월연표보기 - 동아대학교 박물관에서 시굴 조사 실시
발굴 조사 시기/일시 2003년 6월~2004년 6월연표보기 - 동아대학교 박물관에서 발굴 조사 실시
현 소재지 부산광역시 강서구 지사동 556
현 소재지 부산광역시 강서구 지사동 777
현 소재지 부산광역시 강서구 지사동 926~930
현 소재지 부산광역시 강서구 지사동 936~937
현 소재지 부산광역시 강서구 지사동 991
출토 유물 소장처 동아대학교 박물관 - 부산광역시 서구 부민동 2가 1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강서구 지사동에 있는 고려 및 조선 시대의 제철 유적.

[개설]

부산 과학 지방 산업 단지 조성 부지로 지정된 이후 1997년 3월부터 4월까지 동아대학교 박물관이 지표 조사를 실시하여 제철 유적으로 추정되는 곳 2곳과 토기 산포지 4곳, 고분군 2개소가 확인되었다. 2002년 8월부터 2003년 3월까지 동아대학교 박물관이 시굴 조사를 실시하여, 고려 및 조선 시대의 제철 유적 2개소, 삼국 시대 고분군 1개소와 취락 1개소를 확인하였다. 2003년 6월부터 2004년 6월까지 동아대학교 박물관이 발굴 조사를 실시하였다.

[위치]

낙동강 하류에 있는 굴암산[662.7m]이 두 갈래로 갈라져 동쪽으로 뻗으면서 형성된 좁고 긴 골짜기를 이루며 해안에 이르는데, 골짜기가 만나는 곳엔 충적지의 선상지가 형성되어 있고, 지사동 제철 유적은 선상지의 평탄 지역에 위치한다.

[형태]

지사동 제철 유적신명 마을에 있는 A지구와 너더리골 입구에 있는 B지구, A지구와 B지구 사이의 지사천 서쪽 산록에 있는 C지구로 구분된다. A지구에서는 10기의 제철 관련 유구가 확인되었는데, 제철 유구는 직경 120㎝ 크기의 원형 제련로와 배제부, 용해로, 제련 관련 수혈 유구로 이루어졌고, 입구부 도로변 산자락에는 두께가 150㎝ 되는 대규모의 슬래그 더미가 있다. 제련로 8기와 방형 수혈 1기가 모여 있고, 2기의 용해로는 동쪽으로 100m 정도 떨어진 곳에 있다. 각 제련로에는 슬래그와 노벽 파편을 버린 폐기장이 있다. 제련로 내부는 회색토로 채워져 있고, 송풍관은 확인되지 않았으며, 약간의 슬래그와 조개껍데기가 출토되었다. 1기의 방형 수혈에서 많은 수량의 고려 시대 회백색 연질 토기편과 다량의 슬래그가 출토되었다.

B지구에서도 제련로의 노벽 파편을 비롯해 많은 양의 슬래그가 출토되었다. C지구는 구릉 사면을 따라 동서 방향으로 조성된 7기의 방형 또는 장방형의 제련로가 확인되었다. 제련로는 내부에 자갈을 깐 원형로와 슬래그 배출 시설만 갖추었다. 이곳에서 확인된 제철 유구는 작은 골짜기나 사면의 경사면에 단을 만들어 유출재가 자연스럽게 흘러내릴 수 있도록 만들었다. 제철 유구 아래에는 다량의 노벽 파편과 슬래그 등으로 이루어진 폐기장이 확인되었다. 유구 사이에서 분청사기와 백자 및 옹기 편들이 출토되어 제철 유적의 조업 시기가 조선 전기부터 조선 후기까지임을 알 수 있다.

[현황]

현재 지사동 제철 유적의 일부는 하이스트 C.C. 골프장에 들어가 있고, 일부는 부산 과학 지방 산업 단지 예정 부지로 지정되어 있다. 강서구청에서 관리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지사동 제철 유적은 고려 시대부터 조선 시대까지 이루어진 대규모 제철 생산 단지로서 제련로, 용해로, 정련로 등 철 생산 시설의 구조와 특징은 물론 옛 김해만 지역의 철 생산 시스템과 양을 가늠할 수 있는 중요한 유적이다. 현재의 부산 과학 지방 산업 단지와 역사적으로 연계될 수 있으므로 전시관 건립이 요망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