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중동 구석기 유적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4347
한자 中洞舊石器遺蹟
영어의미역 Paleolithic Remains in Jung-dong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유적(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중동 95
시대 선사/석기
집필자 장용준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유적
면적 3,300㎡
소유자 개인
관리자 해운대구청
발굴 조사 시기/일시 1992년 12월~1993년 4월연표보기 - 부산광역시립박물관에서 시굴 조사와 지표 조사 실시
현 소재지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중동 95
출토 유물 소장처 부산광역시립박물관 -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로 210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중동에 있는 후기 구석기 시대의 유적.

[개설]

1992년 12월부터 1993년 4월까지 부산광역시립박물관이 시굴 조사와 지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해운대 신시가지 조성을 위해 좌동 구석기 유적과 함께 발굴 조사되었다. 이후 4개월에 걸친 발굴 조사 결과, 후기 구석기 시대의 석기들이 다량으로 출토되었다. 유적의 규모는 6,611㎡ 정도로, 좌동 구석기 유적보다 크고 출토된 유물 수와 분포 범위가 더 넓다. 지표층 바로 아래에서 유물이 확인되었고, 일부 지점에서 비교적 좋은 퇴적층이 남아 있어 유물의 출토 양상, 층위, 문화층의 특징을 파악할 수 있었다. 유물과 층위로 볼 때 기원전 1만 5000년~1만 2000년 전에 해당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위치]

중동 구석기 유적해운대에서 가장 높은 장산이 급경사를 이루고 내려오다가 분지형으로 되어 있는 해발 47m의 낮은 구릉에 위치한다. 주변에 좌동 구석기 유적이 300m정도 떨어진 곳에 있고, 청사포 유적과는 산 하나를 사이에 두고 있다.

[형태 및 출토 유물]

중동 구석기 유적의 층위는 5개로 나누어진다. 좌동중동 구석기 유적 모두 갈색 찰흙층[Ⅱ층]의 최상부 토양 쐐기에서만 유물이 출토되었다. 중동 구석기 유적에서는 석영 대신에 혼펠스를 이용하여 석기를 만든 데 반해, 좌동 구석기 유적에서는 석영제 석기의 비율이 높은 것이 특징이다. 출토된 석기는 풍화가 심하여 표면이 좋지 않다. 격지[剝片]가 대부분이지만 몸돌[石核]도 출토되었다. 그 외에도 망치돌, 모룻돌, 좀돌날 몸돌[세석핵(細石核)], 좀돌날[세석인(細石刃)], 돌날[石刃], 밀개, 긁개, 삭편(削片)에서 떨어져 나온 타면 생성 격지, 도끼 모양 석기, 새기개 등이 있다.

그 중에서 주목할 만한 유물은 좀돌날 몸돌 6점이다. 특히 양면 조정된 4점은 2만 년 전~1만 3000년 전에 동북아시아 지역에서 널리 사용된 유베츠[용별(湧別)] 기법에 가깝다. 이 기법은 후기 구석기 시대에 일본 북해도 지역에 있는 유베츠 강 주변에 분포하는 유적군의 이름에서 비롯된 좀돌날 기법의 한 종류이다. 특히 세석인을 떼어 내기 위해 타원형으로 다듬은 예비 소재를 사용해 때림면을 만드는 것이 특징이다. 유베츠 기법은 후기 구석기 시대 후반의 가장 대표적인 석기 제작 기법으로, 동북아시아 지역의 한국, 러시아, 중국 북부, 일본에 널리 분포한다. 우리나라에는 수양개 유적, 호평동 유적, 신북 유적, 집현 유적, 월성동 유적 등에서도 확인된다. 이러한 특징으로 볼 때 중동 구석기 유적의 구석기인들은 시베리아 지역의 현생 인류의 이동과 관련이 있다. 면적은 3,300㎡이다.

[현황]

해운대 신시가지가 조성되기 전에 밭과 논으로 경작되어 유물을 포함하고 있는 문화층이 많이 훼손된 상태였다. 현재는 아파트 건립 등으로 인해 유적이 남아 있지 않다. 해운대구청에서 관리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중동 구석기 유적은 부산을 포함한 영남 지역에서 정식 발굴 조사된 대규모 구석기 유적으로, 남부 지방의 후기 구석기 문화를 파악할 수 있다. 구석기 시대부터 부산에 사람이 살기 시작하였음을 알 수 있으며, 한반도 동남부 지역의 좀돌날 문화를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유적이다. 후기 구석기 시대에 한일 구석기 문화의 비교연구는 물론, 일본 서부 지역의 유베츠 기법의 기원을 밝히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