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4311
한자 鳴藏洞建物-
영어의미역 Site of Buildings in Myeongjang-dong
이칭/별칭 명장동 건물지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터
지역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장동 산91-1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유우창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비|기념비
관리자 비|기념비
발굴 조사 시기/일시 2003년연표보기 - 경남문화재연구원에서 발굴 조사 실시
소재지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장동 산91-1
출토 유물 소장처 경남문화재연구원 -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팔용동 6-37

[정의]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장동에 있는 조선 후기의 건물 터.

[위치]

명장동 건물 터동래구 명장동에 있는 학산여자고등학교 북쪽 구릉의 경사면에 위치한다. 이 유적이 입지하고 있는 구릉에 동래읍성의 성벽이 지나고 있다.

[발굴 조사 경위 및 결과]

2003년 경남문화재연구원이 매장 문화재 발굴 조사를 실시하여 조선 시대의 건물 터 2동과 담장 터, 민묘 3기 등의 유구를 확인하였다. 건물 터 2동 중 1호 건물 터는 정면 3칸, 측면 1칸 구조인 누정 건물이 들어섰을 것으로 추정되며, 2호 건물 터는 상부에서 기와가 함몰된 흔적이 전혀 없는 것으로 보아 일반 초가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들 유구는 동래읍성의 건조물에 관련된 것으로 확인될 가능성이 높다. 한편 자기류, 도기류, 기와류가 출토되었는데, 특히 자기류는 대부분 15세기 후반~17세기에 제작된 것으로 편년된다. 따라서 명장동 건물 터에 들어서 있던 건물들은 16세기 전반에 축조되어 17세기 중반 이전에 폐기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현황]

명장동 건물 터가 있는 구릉 경사면에 자기편, 도기편, 기와편 등이 간간이 보일 뿐 새로 드러난 구조물은 없다. 현재 구릉에는 잡초가 무성하게 자라고 있는 상태이다.

[의의와 평가]

명장동 건물 터는 출토된 유물의 편년으로 보아 18세기 동래읍성을 개축할 때 폐기된 것으로 추정되므로, 동래읍성의 변천 과정을 고찰하는 데 의미가 있는 자료로 평가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