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4254 |
---|---|
한자 | 華嚴十刹 |
영어의미역 | Ten major Temples of Huayen Buddhism |
이칭/별칭 | 의상 화엄 전교 십찰(義湘華嚴傳敎十刹) |
분야 | 역사/전통 시대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부산광역시 금정구 |
시대 | 고대/남북국 시대 |
집필자 | 최영호 |
[정의]
부산광역시 금정구 청룡동에 있는 범어사를 포함하는 통일 신라의 화엄 십찰.
[내용]
신라 시대 의상(義湘)과 그의 제자들이 창건하여 화엄 사상을 널리 전파한 10곳의 화엄종 사원으로, 부산의 범어사를 포함하여 화엄사(華嚴寺), 부석사(浮石寺), 해인사(海印寺), 갑사(岬寺), 옥천사(玉泉寺), 보원사(普願寺), 미리사(美理寺), 보광사(普光寺), 청담사(淸潭寺)를 지칭하나 다른 견해도 있다.
최치원(崔致遠)의 『법장화상전(法藏和尙傳)』에는 중악(中岳) 공산(公山)[지금의 대구광역시 팔공산]의 미리사, 남악(南岳) 지리산(知異山)의 화엄사, 북악(北岳)[태백산] 부석사, 강주(康州) 가야산(迦耶山)의 해인사와 보광사, 웅주(熊州) 가야협(迦耶峽)의 보원사, 계룡산(鷄龍山)의 갑사, 양주(良州) 금정산(金井山)의 범어사, 비슬산(毗瑟山)[연화산]의 옥천사, 전주(全州) 모산(母山)의 국신사(國神寺)[국신사(國信寺)라고도 하며,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청도리 모악산의 구 귀신사(歸信寺)], 한주(漢州) 부아산(負兒山)의 청담사 등을 가리키고 있다.
『삼국유사(三國遺事)』 권4, 의해(義解)5, 의상전교(義湘傳敎)에는 태백산(太伯山) 부석사, 원주(原州) 비마라사(毗摩羅寺), 가야(伽耶) 해인사, 비슬(毗瑟) 옥천사, 금정(金井) 범어사(梵魚寺), 남악(南嶽) 화엄사 등이라 하여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들 사원은 통일 신라 시대의 여러 교단 가운데 가장 대표적인 화엄종의 중심 사찰로 군사적 요충지나 교통 길목에 위치하였다. 한편 화엄 십찰 가운데 십의 숫자는 10개 사원의 의미보다 10을 만수(滿數)로 보는 개념이 포함되어 있다고 짐작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