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4190
한자 慶尙左水營城南門
영어의미역 The South Gate of Gyeongsangjwasuyeong Fortress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건물
지역 부산광역시 수영구 수성로 43[수영동 229-1]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박재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692년연표보기 - 경상좌수영성 남문 건립
이전 시기/일시 1960년대 말 - 수영동에서 수영 사적 공원 입구로 이전
개축|증축 시기/일시 1993년 8월연표보기 - 경상좌수영성 남문 해체 보수
문화재 지정 일시 1972년 6월 26일연표보기 - 경상좌수영성 남문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7호로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경상좌수영성 남문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로 재지정
현 소재지 경상좌수영성 남문 - 부산광역시 수영구 수성로 43[수영동 229-1]지도보기
원소재지 경상좌도 수군절도사영성 주작문(朱雀門) - 부산광역시 수영구 망미번영로70번길 140-3
성격 관방 시설|성
양식 홍예형 성문
소유자 부산광역시청
관리자 부산광역시 수영구청
문화재 지정번호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정의]

부산광역시 수영구 수영동에 있는 조선 후기 경상 좌도 수군절도사영성(慶尙左道水軍節度使營城) 남쪽의 아치형 석문.

[위치]

경상좌수영성 남문(水營城南門)부산광역시 수영구 수영동 229-1번지에 위치한다. 수영 팔도 상가 시장에서 수영동사무소를 거쳐 수영 사적 공원으로 들어가는 입구에 자리하고 있다. 신익 아파트가 인접해 있다.

[변천]

경상좌수영성 남문은 1692년(숙종 18) 경상 좌수사 문희성(文希聖)이 성을 중수할 때 건립한 것으로 추정된다. 일제 강점기에 옛 수영초등학교[현 신익 아파트 자리] 정문으로 사용하기 위해 원래의 자리에서 옮겨 왔다. 1962년 6월 30일 수영초등학교가 이전한 후 방치되어 있다가, 1960년대 말 미군의 도움을 받아 현재의 위치인 수영 사적 공원 입구로 옮겨져 보존되고 있다. 오랜 세월에 홍예석이 조금씩 침하되어 붕괴될 우려가 있어 1993년 8월 해체한 후 보수하였다.

[형태]

경상좌수영성 남문의 명칭은 주작문(朱雀門)으로, 원래 형태는 홍예형[무지개형] 성문 위에 문루가 있었다. 그러나 일제 강점기에 수영초등학교 정문으로 사용하기 위해 옮긴 이후 방치되어, 현재는 앞뒤의 홍예(虹霓)[성문, 수문, 다리 등을 무지개 모양으로 쌓은 것]와 홍예 기석(虹霓基石)[홍예석을 쌓기 위해 가장자리에 기둥처럼 놓은 돌], 그리고 홍예 기석과 같은 높이의 성벽이 좌우에 10m 정도 남아 있다.

전면 홍예 기석 앞에는 같은 크기의 사각형 돌기둥 위에 박견(拍犬) 한 쌍이 양쪽에 나란히 서 있다. 이러한 박견 형태의 석물이 성문 옆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는 다른 지방에서는 볼 수 없는 것으로 독특하다. 전면 좌측에는 수령 이하는 모두 말에서 내려야 한다는 하마비(下馬碑)가 서 있다.

[의의와 평가]

경상좌수영성 남문은 조선 시대 국방사 및 성곽 연구에 있어서 중요한 자료이다. 1972년 6월 26일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7호로 지정되었으며, 2015년 3월 18일 '경상좌수영성 남문'으로 문화재 명칭이 변경되었다.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9.03.11 2015년 3월 18일 문화재 공식 명칭 변경 수영성 남문->경상좌수영성 남문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