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문홍주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3973
한자 文鴻柱
영어음역 Mun Hongju
이칭/별칭 해암(海巖)
분야 문화·교육/교육,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문인·학자
지역 부산광역시 금정구 산성로 872[장전동 산30]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서용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학자|교육자|관료
성별
대표관직|경력 부산대학교 총장|문화교육부 장관
출생 시기/일시 1918년 6월 7일연표보기 - 출생
수학 시기/일시 1940년 -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 졸업
수학 시기/일시 1954년 - 시카고대학교 수학
활동 시기/일시 1946년 - 동아대학 교수에 임명
활동 시기/일시 1949년 - 부산대학교 법과 대학 교수에 임명
활동 시기/일시 1956년 - 『미국 헌법론』 저술
활동 시기/일시 1960년 12월 - 부산대학교 총장에 임명
활동 시기/일시 1960년 - 부산시 문화상 수상
활동 시기/일시 1962년 - 법제처장에 임명
활동 시기/일시 1963년 - 『한국 헌법』 저술, 2등 근무 공로 훈장 수상
활동 시기/일시 1964년 - 부산대학교 명예 문학 박사 학위 취득
활동 시기/일시 1965년 - 『기본적 인권 연구』 저술
활동 시기/일시 1966년 9월 - 제17대 문화교육부 장관에 임명
활동 시기/일시 1969년 - 성균관대학교 법정 대학 교수에 임명
활동 시기/일시 1970년 - 한국공법학회 회장이 됨
활동 시기/일시 1979년 -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부위원장에 임명
활동 시기/일시 1980년 6월 - 부산대학교 총장에 임명
활동 시기/일시 1981년 - 국민 훈장 무궁화장 수상
활동 시기/일시 1982년 - 대만정치대학교 명예 법학 박사 학위 취득
활동 시기/일시 1984년 - 경기대학교 대학원장에 임명
활동 시기/일시 1986년 - 한국정신문화연구원장에 임명
활동 시기/일시 1991년 - 대한민국 학술원 회원에 임명, 미국헌법연구소 소장이 됨
몰년 시기/일시 2008년 8월 2일연표보기 - 사망
출생지 창원 -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수학|강학지 경성제국대학 -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동 56-1[관악로 1]
활동지 동아대학 - 부산광역시 서구 동대신동 3가 1지도보기
활동지 부산대학교 - 부산광역시 금정구 장전동 산 30지도보기
활동지 법제처 - 서울특별시 종로구
활동지 문화교육부 - 서울특별시 종로구
활동지 성균관대학교 - 서울특별시 종로구 명륜동 3가 53
활동지 경기대학교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충정로 2가 71
활동지 한국정신문화연구원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 50[하오개로 323]

[정의]

부산 지역에서 활동한 교육자이자 행정 관료.

[활동사항]

문홍주(文鴻柱)[1918~2008]는 1918년 6월 7일 경상남도 창원에서 태어났다. 호는 해암(海巖)이다. 1940년 경성제국대학[현 서울대학교] 법문학부 졸업 후 1946년부터 1949년까지 동아대학 교수로 재직하였고, 1949년 부산대학교 법과대학으로 옮겨 헌법학자로 활동하였다. 미국 헌법에 정통하였던 문홍주는 1954년 미국 시카고대학교에서 1년간 수학하고 돌아와 각종 저술을 통해 평등권, 자유권, 사법 절차상의 기본권 등에 관한 미국연방대법원 판례를 소개하는 등 인권 신장과 관련된 연구 업적을 남겼다. 또한 대통령제 이론, 탄핵 제도, 국정 조사 제도, 변호인의 조력을 받을 권리 등 한국 헌법학계의 주요한 이론을 정립하는 데도 기여하였다.

부산대학교 법과 대학장을 거쳐 1960년 12월부터 1962년 2월까지 부산대학교 제2대 총장을 지냈다. 1962년에는 법제처장에 임명되어 제3공화국 헌법과 각종 법령 제정에 관여하였다. 1966년 9월~1968년 5월 제17대 문화교육부 장관 재임 시에는 근대화를 위한 인간 교육과 생산 교육에 역점을 두었다. 1969년 성균관대학교 법정 대학 교수가 되어 1980년 정년 퇴임하였으며, 1980년 6월~1983년 8월 제11대 부산대학교 총장을 지냈다.

1984~1986년 경기대학교 대학원장, 1986~1989년에는 한국정신문화연구원[현 한국학중앙연구원] 원장을 지냈다. 그 밖에 한국공법학회 회장[1970],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부위원장[1979], 대한민국 학술원 회원[헌법 분야][1991], 미국헌법연구소 소장[1991]을 역임하였다. 한국 헌법학계의 산증인이었던 문홍주는 2008년 8월 2일 서울에서 91세로 세상을 떠났다.

[학문과 저술]

저서로는 『미국 헌법론』[1956], 『한국 헌법론』[1957], 『한국 헌법』[1963], 『기본적 인권 연구』[1965] 등이 있다.

[상훈과 추모]

학계와 교육계에 남긴 공로를 인정받아 1960년 부산시 문화상, 1963년 2등 근무 공로 훈장, 1981년 국민 훈장 무궁화장을 수상하였다.

[참고문헌]
  • 해암문홍주박사 화갑기념 논문집간행위원회, 『공법의 제문제』-해암 문홍주 박사 화갑 기념 논문집(해암사, 1978)
  •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 데이터베이스(http://db.history.go.kr)
  • 한국독립운동사정보시스템(https://search.i815.or.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