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오곡밥 먹기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3936
한자 五穀-
영어의미역 Eating Boiled Rice of Five Grain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의례/평생 의례와 세시 풍속
지역 부산광역시
집필자 류승훈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세시 풍속
의례시기/일시 음력 1월 15일

[정의]

부산 지역에서 음력 1월 15일에 다섯 가지 곡식으로 지은 밥을 먹는 풍습.

[개설]

오곡밥 먹기는 음력 정월 대보름날에 전통적인 명절 음식을 먹는 풍속이다. 오곡밥은 찹쌀·차조·붉은팥·찰수수·검은콩 등의 다섯 가지 곡식을 섞어 밥을 짓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근래에는 지역의 환경적인 특성에 맞게 다섯 가지 중에서 2~3가지는 다른 재료로 하여 별식으로 지어 먹기도 한다.

[연원 및 변천]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서는 “오곡으로 잡곡밥을 지어 먹는다. 그리고 또 이것을 나누어 준다. 영남 지방의 풍속 또한 그러한데, 종일 이 밥을 먹는다. 제삿밥을 나누어 먹는 옛 풍속을 답습한 것이다”고 기록하였다.

[절차]

보름날 오곡밥[쌀, 조, 수수, 팥, 콩 등을 섞어 지은 밥]을 지어 먹으면 그해 농사도 잘 되고, 가정에 부정도 가신다고 한다. 기장군 철마면 연구리에서는 오곡이 잘 되라고 오곡밥을 하고, 풍년이 들기를 기원하며 쌈으로 싸 먹는다[복쌈 먹기]. 기장군 기장읍 죽성리에서는 한 해 농사가 풍년이 들고, 고기잡이도 잘 되라는 바람에서 오곡밥의 첫술을 복쌈으로 싸 먹는다. 기장군 일광면 학리에서는 보름날 쌀에 팥·조·수수·콩 등을 넣어 오곡밥을 지어 먹는다. 이 오곡밥의 첫술은 풍성한 알곡이 맺히기를 기원하면서 복쌈을 싸 먹는다.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정월 대보름의 오곡밥은 풍농을 기원하는 뜻이 담겨 있다. 오곡밥은 일종의 잡곡밥으로서 가정 및 지역에 따라 곡식의 종류는 차이가 있다. 여러 가지 곡식을 넣어 지어 먹는다는 뜻에서 곡식의 총칭인 ‘오곡’이라는 말을 쓴 것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