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3912 |
---|---|
한자 | 穀總便攷 |
영어의미역 | Record of Grain Exchange Policies in Joseon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기록 유산 |
유형 | 문헌/전적 |
지역 | 부산광역시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김보정 |
[정의]
조선 후기 부산 지역을 비롯한 전국의 환곡과 그 이자인 모곡(耗穀)의 양을 기록한 책.
[편찬/간행 경위]
『곡총편고(穀總便攷)』는 조선 후기 환곡의 전국적 규모와 운용에 대하여 기록한 책으로, 1797년(정조 21)에 저술된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 후기 전국 규모의 환곡, 기관, 용도 및 운용 등을 파악하기 위해 서술되었다.
[형태/서지]
4책의 필사본으로, 크기는 34.5×23.2㎝이다.
[구성/내용]
1책은 전국을 8도(道) 3부(府)로 나누고, 시기는 연대를 알 수 없는 것, 을사년 이전의 것, 을사년 이후의 것, 병신년 이후의 것으로 나누어서 환곡의 총수를 모두 분급하는 진분곡(盡分穀)의 수를 관서별로 서술하고 있다. 2책은 각 관서별로 예상되는 환곡의 모(耗)의 수효와 1797년 용도별 지출 예상액과 차액을 서술하고 있다. 3책과 4책은 각 환곡의 총수를 분급하는 비율에 따라 구분하여 서술하고 있는데, 환곡을 실시한 해, 이유, 모곡의 용도 등에 대해 기록하였다.
[의의와 평가]
『곡총편고』는 조선 후기 환곡제가 본래의 목적인 빈민 구휼에서 벗어나 부세 제도의 하나로 변질되어 국가 재정에 중요한 영향력을 미친 것을 알게 해주는 자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