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영남 지도』 「동래부 지도」[영남대학교 박물관]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3883
한자 嶺南地圖東萊府地圖
영어의미역 Map of Dongnae-buin Map of Yeongnam[Yeongnam University Museum]
분야 지리/인문 지리,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물/서화류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김기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고지도
서체/기법 채색 필사
관리자 영남대학교 박물관
현 소장처 영남대학교 박물관 - 경상북도 경산시 대동 214-1

[정의]

조선 후기 제작된 『영남 지도』에 수록되어 있는 동래부 지도.

[개설]

영남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영남 지도』는 조선 후기의 군현 지도로, 규장각 한국학연구원의 『비변사인 영남 지도(備邊司印嶺南地圖)』와 함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의 『영남도(嶺南圖)』, 규장각 한국학연구원의 『광여도(廣輿圖)』 등과 동일한 계열에 속하는 지도이다. 지도 제작 시기는 영조 대로 추정된다. 영남대학교 박물관에는 『영남 지도』와 함께 호남의 군현 지도가 별책으로 소장되어 있다. 제작 당시 원형을 유지하고 있으며 보존 상태는 비교적 양호하다.

[형태 및 구성]

『영남 지도(嶺南地圖)』 「동래부 지도(東萊府地圖)」는 다른 고을 지도에 비해 도로망, 봉수, 진보 등이 상세하게 수록되어 있어 군사용으로 제작된 지도임을 보여준다. 도로는 기능에 따라 색을 달리하여 표현하였다. 산천은 독립적인 개개의 산으로 표현하였으나 일부 산은 줄기의 형태로 표현하기도 하였다. 하천과 바다는 청색으로 채색하였다. 읍치와 주변의 면을 황색 사각형 내부에 기입하였는데 읍치는 내부의 공간 구조를 그리지 않고 단순히 글자로만 표기하였다. 도로는 크기에 따라 색채를 달리하였는데 대로는 홍선, 중로는 황선, 소로는 청선으로 구분하였다. 지도와 함께 주기가 이면에 수록되어 있어 고을의 내용을 파악하는 데 유용하다.

동래부의 묘사를 보면 계명봉에서 금정산, 기대치에 이르는 산이 줄기로 표현되어 있으며, 읍치의 경우 진산(鎭山)인 윤산(輪山)과 마안산[미기재]을 중심으로 청룡, 백호의 맥을 산줄기로 표현하고 있다.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본과는 달리 향교가 읍성 안에 그려져 있다. 충렬사가 표현되어 있어 규장각 본보다 후대의 지도로 추정될 수 있으나 이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지명은 보다 구체적으로 표현되어 있다.

[특징]

『영남 지도』 「동래부 지도」는 절영도를 보다 정확하게 그렸으며 조도, 태종대도 기재되어 있어 다른 지도와는 다른 특징을 지닌다. 지도에서 묘사된 절영도의 형태가 『해동지도(海東地圖)』와 유사한 것이 주목된다. 또 다른 특징은 봉수가 연결되는 망을 직선의 홍선으로 표현한 것이다. 해안의 응봉 봉수, 구봉 봉수, 황령산 봉수, 간비오산 봉수가 내륙의 계명 봉수로 연결되는 것으로 표현되어 있다. 지도의 동쪽 아래에 대마도를 기재하였으나 섬은 묘사되어 있지 않다.

[의의와 평가]

비변사인 방안 지도의 변형 과정을 살펴볼 수 있으며, 영도 등의 묘사 방법을 통해 지리 정보의 모사를 엿볼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