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영남 지도』 「기장현 지도」[영남대학교 박물관]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3882
한자 嶺南地圖機張縣地圖
영어의미역 Map of Gijang-hyeonin Map of Yeongnam[Yeongnam University Museum]
분야 지리/인문 지리,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물/서화류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김기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고지도
서체/기법 채색 필사
관리자 영남대학교 박물관
현 소장처 영남대학교 박물관 - 경상북도 경산시 대동 214-1

[정의]

조선 후기 제작된 『영남 지도』에 수록되어 있는 기장현 지도.

[개설]

영남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영남 지도』는 조선 후기의 군현 지도로, 규장각 한국학연구원의 『비변사인 영남 지도(備邊司印嶺南地圖)』와 함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의 『영남도(嶺南圖)』, 규장각 한국학연구원의 『광여도(廣輿圖)』 등과 동일한 계열에 속하는 지도이다. 지도 제작 시기는 영조 대로 추정된다. 영남대학교 박물관에는 『영남 지도』와 함께 호남의 군현 지도가 별책으로 소장되어 있다. 제작 당시 원형을 유지하고 있으며 보존 상태는 비교적 양호하다.

[형태 및 구성]

『영남 지도(嶺南地圖)』 「기장현 지도(機張縣地圖)」는 다른 고을 지도에 비해 도로망, 봉수, 진보 등이 상세하게 수록되어 있어 군사용으로 제작된 지도임을 보여준다. 도로는 기능에 따라 색을 달리하여 표현하였다. 산천은 독립적인 개개의 산으로 표현하였으나 일부 산은 줄기의 형태로 표현하기도 하였다. 하천과 바다는 청색으로 채색하였다. 읍치와 주변의 면을 황색 사각형 내부에 기입하였는데 읍치는 내부의 공간 구조를 그리지 않고 단순히 글자로만 표기하였다. 도로는 크기에 따라 색채를 달리하였는데, 대로는 홍선, 중로는 황선, 소로는 청선으로 구분하였다. 지도와 함께 주기가 이면에 수록되어 있어 고을의 내용을 파악하는 데 유용하다.

[특징]

지도의 표현 양식과 내용 등이 규장각 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되어 있는 『비변사인 영남 지도』와 거의 유사하다. 그러나 규장각 본이 1리 방안에 그린 대형 지도로서 휴대와 열람이 불편함에 따라,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작은 책자 형태로 만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규장각 본은 군현의 크기에 따라 도폭의 크기가 다르지만 『영남 지도』 「기장현 지도」는 모든 군현의 지도가 동일하여 면적 차이의 파악은 불가능하다.

지도의 뒷면에 한양까지의 거리, 사방 경계, 군현 내 각 지역의 거리 등이 기재되어 있는데 이는 『비변사인 영남 지도』의 내용을 전사한 것이다. 또한 앞의 지도에 기재된 지지적 내용은 지도 뒷면에 기재하고 있다. 이와 같은 내용을 종합하여 볼 때 『영남 지도』 「기장현 지도」는 『비변사인 영남 지도』를 바탕으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기장현 지도의 산천 표현 방법도 규장각 본과 거의 유사하다. 도로망 표시는 읍치로부터 북쪽으로 울산으로 통하는 도로와 해운대·동래로 이어지는 도로가 표현되어 있다. 지명은 임랑포, 기포, 항곶포, 월내포, 화사포 등이 나타나 더욱 정밀한 묘사를 보이고 있다. 두모포와 함께 왜성이 표기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유사한 내용을 바탕으로 하는 동일 계열의 군현 지도가 각 기관에 산재, 소장되어 있는데, 이들 지도를 통해 지리 정보의 확산과 변화 내용을 파악할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