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신무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3833
한자 神武壇
영어의미역 Sinmudan Altar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유적/유적(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동구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제장명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단(壇)
관련인물 만세덕
조성|건립 시기/일시 1750년연표보기 - 건립
현 소재지 부산광역시 동구

[정의]

부산광역시 동구에 있던 임진왜란 때 조선에 출병한 명나라 장수 만세덕(萬世德) 등을 기리던 제단.

[건립 경위]

1709년(숙종 35) 동래 부사 권이진(權以鎭)부산진성 안에 있는 자성(子城)에서 만세덕이 1599년(선조 32)에 세운 기공비(紀功碑)를 발견하고, 그가 우리나라에 끼친 무공에 대한 은혜에 보답하고자 사당을 세우려 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그 후 1750년(영조 26) 동래 부사 황경원(黃景源)이 만세덕을 위해 객사 뒤에 있던 적취정(積翠亭) 옛 터에 단을 쌓아 신무단(神武壇)이라 이름 지었다. 신무단이란 명칭은 아마도 자성비(子城碑)의 비문에 기록된 문장에서 뽑은 것으로 보인다. 신무단에서는 만세덕과 명나라 장수로 조선에 와서 전공을 세운 제독 진린(陳璘)·유정(劉綎)·마귀(麻貴)·동일원(董一元)을 모시고 해마다 한 번씩 날을 받아 제사를 지냈으나, 이후 제사는 폐지되었다.

[현황]

지금은 그 흔적을 찾을 수 없다.

[의의와 평가]

임진왜란 당시 명나라의 출병 장수를 기리는 단을 쌓아 제사를 지낸 유적으로, 조선 후기 명나라 참전에 대한 인식을 엿볼 수 있는 자료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