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바람몰이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3726
영어의미역 Creating an Atmosphere
이칭/별칭 이월 바람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의례/평생 의례와 세시 풍속
지역 부산광역시
집필자 박기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세시 풍속
의례시기/일시 음력 2월 1일
의례 장소 산성 마을 - 부산광역시 금정구 금성동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금정구 금성동에서 음력 2월 1일에 마마병을 막으려고 행하는 풍속.

[개설]

바람몰이는 음력 이월 초하루에 떡을 해서 마마병을 예방하려고 행하는 액막이 풍속이다. 이를 ‘이월 바람’이라고도 한다. 음력 2월 1일은 ‘영등날’이며, ‘영등제’를 모시는 날이다. 부산 지역에서는 영등제를 ‘이월 할마시제’라고 칭하는데, 일반적으로 ‘바람 올리기’, ‘바람 올린다’ 등이라고도 한다. 부산 지역 금성동 산성 마을에서 행해지는 바람몰이는 이러한 ‘영등제’, 즉 ‘바람 올리기’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연원 및 변천]

영등날과 영등제에 대한 연원은 정확히 알 수 없다. 다만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 “20일에 비가 오면 풍년이고, 흐려도 길한 조짐”이라고 했는데, 20일은 영등이 하늘로 올라가는 날이다. 영등을 모시는 풍속은 전국적으로 널리 분포하는데, 영등은 바람을 일으키는 풍신(風神)이며, 여신 특히 할머니로 여겨지고 있다. 영등은 천상에 머물고 있다가 음력 2월 1일에 딸 또는 며느리를 데리고 지상에 내려와서 15일 또는 20일에 다시 올라간다고 한다. 영등이 내려올 때 바람이 가볍게 불면 딸을 데리고 오는 것이고, 비바람이 몰아치면 며느리를 데리고 온다고 여기기도 한다. 이는 고부간의 관계를 날씨에 비유한 것이다. 그리고 농사는 비와 연관이 많기 때문에 이날 영등할머니가 며느리를 데리고 내려와야 풍년이 든다고 믿는다.

금성동 산성 마을바람몰이는 그 명칭과 의례 일시, 내용 등을 미루어 보아 전국적으로 널리 행해지는 영등제, 바람 올리기가 마마병을 막는 의례로 변형된 것으로 생각되는데, 변형된 시기나 원인은 상세히 알 수가 없다.

[절차]

부산광역시 금정구 금성동 산성 마을에서는 음력 2월 1일에 마마병을 막기 위해 떡을 만들어 뒤뜰의 도끼질하는 곳에 놓고 빈다.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농경을 중심으로 하는 전통 사회에서 비나 바람은 농작물의 풍흉과 직결되는 요소이다. 또한 음력 2월 1일 무렵은 땅이 해동되는 시기로, 농사에 대한 준비가 활기를 띠면서 농한기가 끝나는 시점이 된다. 영등날은 농한기의 마지막 명절로서 농경신인 영등할머니를 잘 대접하여 농사의 풍년과 가정의 안녕을 기원했던 것이다. 영등날에 부산 지역에서도 ‘이월 할마시제’를 모셨으며, 이날 비가 내리면 ‘물영동 내린다’라 하여 풍년이 들고, 바람이 불면 ‘바람영동 내린다’고 하여 그해 바람이 많이 분다고 믿었다. 또 이날 조수의 간만 차이가 크면 그해 풍년이 든다고 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