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3573
한자 連龜里麻地堂山祭
영어의미역 Religious Ritual for the Mountain Spirit in Yeongu-ri Majimaeul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의례/제
지역 부산광역시 기장군 철마면 연구리 305-1
집필자 김국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민간 신앙|동제
의례시기/일시 음력 1월 14일 자정
신당/신체 제당
중단 시기/일시 1986년 - 중단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74년연표보기 - 제당 건립
의례 장소 제당 - 부산광역시 기장군 철마면 연구리 305-1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기장군 철마면 연구리 마지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던 마을 제사.

[개설]

연구리 마지 당산제는 음력 1월 14일 자정에 부산광역시 기장군 철마면 연구리 305-1번지에 있는 제당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던 제사였다.

[연원 및 변천]

연구리 마지 당산제의 연원은 자세히 알 수가 없다. 제당은 1974년에 건립하였으며, 제관은 마을 주민 중에서 제관을 선정하여 당산제를 지냈다. 1986년부터 제의는 중단되었다.

[신당/신체의 형태]

제당은 대지 15㎡[4.4평]에 건물 면적은 4㎡[1.2평]이며, 동남향을 하고 있다. 형태는 기와 맞배지붕에 블록으로 벽을 쌓아 시멘트로 마감한 구조물이고, 문은 여닫이 외짝으로 된 함석 문이다. 제단은 직사각형 시멘트 제단이며, 신체는 없다. 제당 뒤에는 수령이 약 100여 년 되는 팽나무가 한 그루 있다.

[절차]

연구리 마지 당산제를 주관하는 제관은 연말 마을 총회에서 선정했다. 제관의 금기 기간은 3개월로 길흉사에 참여하지 않았고, 특별히 받는 보수는 없었다. 제의 경비는 마을의 각 가정으로부터 추렴하였다. 제수의 종류와 제수 진설은 일반 가정집의 기제사와 같았다. 제의 날짜는 매년 음력 1월 14일 자정 무렵인데, 산신제→ 당산 할매제→ 거릿대제의 순으로 진행되었다. 각 제의의 절차도 유교식이어서, 일반 가정의 기제사와 큰 차이는 없었다.

[부대 행사]

제의 뒤에 음복을 하면 적어도 보름 이상 금기 생활을 해야 하기 때문에 주로 마을의 노인들이 음복하였다.

[현황]

현재까지 당집은 그대로 보존되고 있으나, 1986년 이후에 연구리 마지 당산제는 지내지 않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