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3524
한자 大渚二洞新蘇堂山祭
영어의미역 Religious Ritual for the Mountain Spirit in Daejeo2-dong Sinsomaeul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의례/제
지역 부산광역시 강서구 공항진입로12번길 47[대저2동 1883]
집필자 김남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민간 신앙|동제
의례시기/일시 음력 1월 15일 새벽
신당/신체 제당|제단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75년 무렵 - 제당 중건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07년 무렵부터 - 윤보살이 마을 제당에 와서 제를 지냄
의례 장소 신소 제당 -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2동 1883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2동 소덕리 신소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개설]

대저2동 신소 당산제는 음력 정월 대보름날 새벽에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2동 1883번지에 있는 신소 당산에서 마을의 수호신인 당산 할매[왕씨 부인, 금씨 부인]에게 1년에 한 번 동네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연원 및 변천]

제당은 30여 년 전에 중건된 것이다. 신소 당산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전설]가 있다. 150여 년 전, 새해에 제사를 모시기 위하여 소를 잡는데, 소 잡는 사람이 고기를 몰래 훔쳐 먹다가 그 자리에서 죽었다. 그 후 마을의 소들이 하나 둘 죽어 가기 시작하자 이를 안타깝게 여긴 마을 사람들이 이 액운을 달래기 위하여 당산을 짓고 제사를 올리게 되었다고 한다.

[신당/신체의 형태]

제당은 대지 44.7㎡[13.5평, 앞면 5.45m, 옆면 8.2m]에 건물 면적은 8.6㎡[2.6평]이며, 방향은 동동남향이다. 기와 맞배지붕에 벽은 블록을 쌓아 시멘트로 마감한 구조물인데, 제당의 양쪽에 방풍판이 붙어 있으며, 문은 여닫이 외짝 철판 문이다. 제단은 직사각형 대리석 판이고, 제단 위에는 위패는 없고 동자상 1개, 촛대 3개, 향로 1개, 정화수 그릇 2개가 있다. 제당 안 오른쪽 모서리에 여자 한복 1벌이 걸려 있으며, 그 아래에 여자 고무신 한 켤레가 놓여 있다. 왼쪽 모서리에 남자 한복 1벌이 걸려 있으며, 그 아래에 남자 고무신 한 켤레가 놓여 있다.

제당 주위에는 높이 135㎝의 직사각형 담장이 둘러 있는데, 담장은 제당 앞면을 기준으로 앞 양변과 앞면은 네모진 콘크리트 기둥에 철근으로 얽어 놓았고, 뒤 양변과 뒷면은 높이 135㎝의 블록 담이다. 담장 밖에는 사철나무 5그루가 있고, 그 밖은 논이다.

[절차]

제사는 매년 1회씩 지내는데, 음력 정월 15일 새벽에 지낸다. 제물 종류와 제물 진설 및 제사 절차는 일반 가정의 기제사와 같되, 돼지머리를 꼭 얹는다. 제사는 당산할배·할매제만 지낸다. 제관은 옛날에는 마을 회의에서 선정하였으나, 2005년 무렵에는 무당에게 제를 맡겨 천수봉에서 지냈다. 2008년 무렵부터 구포에 사는 윤보살이 제당으로 직접 와서 지내는 것으로 바뀌었다.

제사 때는 통장[이장]을 비롯한 마을 사람들은 참석하지 않는다. 제사에 참석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다만 제보자에 의하면 천수봉에서 제를 지낼 때는 마을에는 날짜를 알려 주지도 않고 무당 혼자서 지냈다고 한다. 마을 사람들은 제를 구경하지도 못하면서 제비만 내는 것을 못내 못마땅히 여겼다. 그러던 어느 날, 윤보살이 마을 이장을 찾아와 자신이 대신 제를 지내 주겠다고 하여 그때부터 맡기게 되었다고 한다. 이런 일이 있은 후부터 마을 사람들은 제사에 참석하지 않게 되었고, 현재까지도 그것이 이어지고 있다.

[부대 행사]

2005년 무렵까지는 대저2동 신소 당산제를 마친 뒤, 제물을 경로당으로 가져와 마을 사람들이 음복하였다.

[현황]

신소 당산은 신소 마을에서 서쪽으로 200m 떨어진 지점의 논 가운데 있다. 신소 당산은 등구 마을, 상방 마을, 신흥 마을, 신소 마을 등의 4개 마을이 공동으로 제를 모시고 있다. 제당 청소 및 관리는 윤보살이 맡아서 한다. 제사 경비는 등구 마을, 신소 마을, 소덕 마을 등에서 추렴하는데, 무당의 보수를 합하여 약 50만 원 정도 소요된다.

[참고문헌]
  • 『부산의 당제』(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2005)
  • 인터뷰(강서구 대저2동 소덕리 통장 이상복, 남, 58세, 2011. 7. 12)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