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3457
한자 梵魚寺蒙山和尙法語略錄
분야 종교/불교,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전적
지역 부산광역시 금정구 범어사로 250[청룡동 546]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조경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간행 시기/일시 1579년연표보기 - 범어사 몽산화상법어약록 간행
문화재 지정 일시 1999년 11월 19일연표보기 - 범어사 몽산화상법어약록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40호로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범어사 몽산화상법어약록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로 재지정
소장처 범어사 - 부산광역시 금정구 범어사로 250[청룡동 546]지도보기
간행처 신흥사 - 지리산
성격 고도서
규격 14.4×41.9㎝
문화재 지정번호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정의]

부산광역시 금정구 청룡동 범어사에 소장된 원나라 승려 덕이(德異)의 법어를 요약한 책.

[편찬/간행 경위]

범어사 몽산화상법어약록(蒙山和尙法語略錄)은 원나라 임제종 승려인 몽산 화상(蒙山和尙) 덕이가 간화선(看話禪)으로 득도한 법어를 요약한 책이다. 체계화된 ‘무(無)’자 화두 위주의 참구법과 선 수행의 구체적인 방법론을 제시하며, 쉽고 대중화된 화두 참구법을 담은 선적(禪籍)이다. 13세기 후반 우리나라에 들어왔다. 1579년(선조 12) 여름에 지리산 신흥사에서 간행하였다. 1999년 11월 19일에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40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형태/서지]

크기는 14.4×41.9㎝이다.

[구성/내용]

앞부분에 「환산정응선사시몽산 법어(晥山正凝禪師示蒙山法語)」, 「동산숭장주송자행각 법어(東山崇藏主送子行脚法語)」, 「몽산 화상 시중(蒙山和尙示衆)」, 「고담 화상 법어명(古潭和尙法語銘)」, 「시각오선인 법어(示覺悟禪人法語)」를 싣고, 본문에 「시고원상인(示古原上人)」, 「시각원상인(示覺圓上人)」, 「시유정상인(示惟正上人)」, 「시청상인(示聽上人)」, 「무자십절목(無字十節目)」, 「휴휴암주좌선문(休休庵主坐禪文)」 등 6편을 싣고 있다

[의의와 평가]

구체적인 선 수행의 길잡이 역할을 하는 범어사 몽산화상법어약록은 현재 언해본 3종이 보물로 지정되어 있는데, 특히 범어사 몽산화상법어약록은 잘 알려지지 않은 한문본으로 불교사 자료로서 귀중한 가치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