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장안사연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3353
한자 長安寺輦
영어의미역 Palanquin at Jangansa Temple
분야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물/유물(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장안로 482[장안리 598]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희정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제작 시기/일시 1760년연표보기 - 장안사연 제작
문화재 지정 일시 2008년 4월 2일연표보기 - 장안사연 부산광역시 민속문화재 제5호로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장안사연 부산광역시 민속문화재로 재지정
현 소장처 장안사 -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장안로 482[장안리 598]지도보기
원소재지 장안사 -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장안로 482[장안리 598]지도보기
성격 가마|연
재질 소나무|철판(鐵板)|동판(銅板)|쇠못
크기 122㎝[전체 높이]|310㎝[길이]|12㎝[다리 높이]|78㎝[난간 폭]
소유자 장안사
관리자 장안사
문화재 지정번호 부산광역시 민속문화재

[정의]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장안리 장안사(長安寺)에 소장되어 있는 조선 후기의 가마.

[개설]

사찰에서 제작된 연(輦)은 불교 의식을 행할 때 불상 또는 경전 등을 옮길 때 사용되었으며, 의식을 행하는 자가 직접 타기도 하였다. 장안사연(長安寺輦)은 불교 의식용 가마로서, 2008년 4월 2일 부산광역시 민속문화재 제5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부산광역시 민속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형태]

손잡이와 사방에 창이 있는 사각형의 몸체, 그리고 지붕인 옥개(屋蓋)로 이루어져 있다. 전체 높이는 122㎝, 길이는 310㎝이며, 다리 높이는 12㎝, 난간 폭은 78㎝이다. 앞뒤로 2개씩 4개의 손잡이가 있는데, 앞쪽 손잡이는 용머리로 장식하였고 뒤쪽 손잡이에는 용 꼬리를 새겼다. 몸체의 네 벽은 ‘十’ 자형으로, 모각(模刻)[이미 있는 조각 작품을 보고 그대로 본떠 새김]된 장식 판이나 I자, T자, 工자형에 화형(花形)이 있는 동판(銅板) 장식과 쇠못으로 결구하여 견고성과 장식성을 모두 고려하였다.

곡선을 이루는 네모 지붕에는 육각형으로 성기게 짠 대나무를 덮었다. 원래는 그 위에 다시 천을 덮고, 몸체의 모서리와 지붕의 처마에는 각종 아름다운 수실 등의 장식을 달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나무로 제작된 손잡이와 몸체는 붉은 안료로 채색되어 있으며, 창호의 좌우 벽체에는 목란문(木蘭紋)과 국화문이 장식되어 있다.

[특징]

몸체의 바닥에 있는 묵서에는 조성에 참여한 인물들의 명단과 1760년(영조 36)에 연을 조성하고 다시 9월에 개조하였다는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장안사연은 부분적으로 훼손되었지만 전체적인 골격을 잘 유지하고 있으며, 정확한 제작 연대를 알 수 있는 유물이다. 1752년(영조 28)에 제작된 통영 안정사(安靜寺)의 연과 더불어 흔하지 않은 조선 후기의 불교 의식용 장엄구로 평가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