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3350
한자 廉周用
영어음역 Yeom Juyong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문인·학자
지역 부산광역시 동래구 복천동 218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현대/현대
집필자 김종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시인|소설가
성별
대표관직|경력 문예신문사 사장
출생 시기/일시 1911년연표보기 - 출생
수학 시기/일시 1926년 - 동래고등보통학교 졸업
수학 시기/일시 1927년 - 일본으로 유학
활동 시기/일시 1935년 7월 - 『생리』 동인이 됨
활동 시기/일시 1936년 - 중국 중앙대학교 졸업
몰년 시기/일시 1953년연표보기 - 사망
출생지 동래읍 복천동 218 - 부산광역시 동래구 복천동
거주|이주지 동래읍 낙민동 - 부산광역시 동래구 낙민동
수학|강학지 동래고등보통학교 - 부산광역시 동래구 칠산동 360지도보기
수학|강학지 중앙대학교 - 중국 동북
활동지 문예신문사 -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

[정의]

근현대 부산 지역에서 활동한 시인이자 소설가.

[활동 사항]

염주용(廉周用)[1911~1953]은 1911년 부산광역시 동래구 복천동에서 태어났다. 1926년 동래고등보통학교[현 동래고등학교]를 졸업한 뒤 1927년 일본에 유학하여 문학의 기초를 닦았다. 귀국 후 『조선 일보』의 신춘문예 공모에 장편 소설이 입선하고, 시가 당선되어 주변 사람들을 놀라게 하였다. 이어서 『개벽』, 『별건곤』, 『조광』 등 유수 월간 문예지에 시를 발표하였다. 그 후 중국 동북[둥베이]으로 건너가 1936년 중앙대학(中央大學)을 졸업하였다. 이때 함께 지낸 인연으로 시인 유치환(柳致環), 언론인 정성수(鄭聖壽) 등과 절친한 사이가 되었다.

1937년 염주용유치환, 장하보(張何步), 박영포(朴永浦), 김기섭(金玘燮), 최두춘(崔杜春), 최상규(崔上圭) 등과 부산 최초의 시 동인지인 『생리』의 동인이 되어 시작에 전념하였다. 1945년 광복 이후 부산 영도구 대교로[봉래동] 해안통에 있던 자유민보사 옆에 문예신문사를 설립하여 순수 문예 주간지 『문예 신문』을 창간하였다. 염주용은 편집인 겸 주필까지 맡아 4년 동안 『문예 신문』을 발간하였다. 하지만 1950년 6·25 전쟁이 일어나면서 전쟁이 가져온 혼란과 경제적 어려움을 겨내지 못하고 지병인 폐결핵이 악화되어 1953년 세상을 떠났다. 염주용의 나이 42세 때였다.

[학문과 저술]

주요 작품으로는 『부산 일보』에 발표한 시 「송화강(松花江)을 건너면서」, 「나의 별」 등이 있다. 「부산의 노래」, 「동래 행진곡」의 노랫말을 쓰기도 하였다. 시 외에 소설, 희곡 등 다양한 분야에서 작품 활동을 하였으나 안타깝게도 소재를 찾을 수 없다. 염주용이 참여했던 동인지 『생리』는 시 동인지 『시인 부락』과 함께 ‘생명 의식’이라는 시적 관심을 공통으로 한 유파(流波)로 평가되었고, 여기에 참여한 시인들은 ‘생명파’ 또는 ‘인생파’로 불렸다.

[상훈과 추모]

1927년 이후 『조선 일보』 신춘문예에 장편 소설 「섬진강 애화(哀話)」가 입선하였고, 시 「밟고 간 자욱」이 당선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