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천지명양 수륙재의 범음산보집』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3331
한자 天地冥陽水陸齋儀梵音刪補集
영어의미역 Collection of Earth and Marine Funeral Orations
이칭/별칭 『지환집』,『범음집』,『범음산보집』
분야 종교/불교,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전적
지역 부산광역시 금정구 범어사로 250[청룡동 546]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최영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고도서
편자 지환
권책 3권 1책
행자 10행 18장
규격 35.0×23.8㎝|23.5×18.7㎝[내변곽]
어미 상하내향이엽화문어미(上下內向二葉花紋魚尾)
권수제 천지명양수륙재의범음산보집(天地冥陽水陸齋儀梵音刪補集)+권차[卷之上·中·下]
판심제 범음집(梵音集)+장차[一·二]
간행 시기/일시 1721년 9월연표보기 - 간행
소장처 범어사 - 부산광역시 금정구 범어사로 250[청룡동 546]지도보기
간행처 삼각산 중흥사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북한동 259

[정의]

부산광역시 금정구 청룡동 범어사에 소장된 조선 후기의 불교 의식집.

[개설]

『천지명양 수륙재의 범음산보집(天地冥陽水陸齋儀梵音刪補集)』은 조선 후기 지환(智還)이 저술한 수륙재문(水陸齋文) 가운데 널리 활용되는 부분을 추려 모아 편찬한 의식집이다. 「수륙재」는 수중과 육지 등을 헤매는 외로운 혼령이나 아귀 등에게 불법을 강설하고 음식을 베풀어 구제하는 의식으로, 중국 양(梁)나라 무제(武帝) 때인 6세기 초반에 시작한 이래 우리나라에서도 국가나 사원의 의례로 빈번하게 열렸다.

[편찬/간행 경위]

서문을 쓴 수연(秀演)에 따르면, 편찬자는 불교 학문이 참모습을 잃어가고 있는 것을 안타깝게 여겨 소례문(小禮文)·대례문(大禮文)·예수문(預修文)·지반문(志磐文)·자기문(仔夔文) 등 5종의 의식집 가운데 번잡한 것을 줄이고 빠진 것을 보충하여 체계를 세우고 널리 자문을 얻어 『천지명양 수륙재의 범음산보집』을 편찬하였다고 한다. 1721년(경종 1) 9월 삼각산(三角山) 중흥사(重興寺)에서 간행한 목판본을 인경하여 범어사 성보박물관에 소장하고 있다.

[형태/서지]

『천지명양 수륙재의 범음산보집』은 목판본을 인경하여 만든 3권 1책으로, 다섯 구멍을 뚫고 실로 꿰매는 선장본(線裝本)이다. 규격은 35.0×23.8㎝ 및 23.5×18.7㎝[내변곽]이다. 판본 형식은 사방을 두 선으로 둘러싼 사주 쌍변(四周雙邊)이며, 본문에는 개별 행 사이에 9줄의 계선(界線)이 있다. 반엽(半葉)의 행자 수는 10행 18자의 주쌍행(註雙行)이다. 반으로 접히는 가운데 부분인 판심은 상하 내향 이엽화문 어미(上下內向二葉花紋魚尾)[물고기 꼬리 모양의 검은 두 개 어미 가운데 위 어미가 아래쪽, 아래 어미가 위쪽을 향하며, 어미 부분에 2개의 화문이 있는 형태]이며, 판심제는 범음집(梵音集)+장차[一·二]의 형식으로 표기되어 있다.

[구성/내용]

표지 제목은 ‘천지명양 수륙재의 범음산보집(天地冥陽水陸齋儀梵音刪補集)’이고, 책의 첫머리에는 명안(明眼)과 수연의 서문, 각 단(壇)의 배설도(排設圖) 및 위의도(威儀圖)가 있다. 권수제 ‘천지명양 수륙재의 범음산보집 권지상중하(天地冥陽水陸齋儀梵音刪補集卷之上·中·下)’의 다음 행에 ‘해동 사문 지환 집(海東沙門智還集)’을 이어 본문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끝부분의 간기는 ‘강희 육십년 신축 구월 일 경기 양주지 삼각산 중흥사 개판(康熙六十年辛丑九月日京幾陽州地三角山重興寺開板)’이라 표기되어 있다.

권상에는 대령의(對靈儀), 분수 작법 절차(焚修作法節次) 등 39종, 권중에는 지반 삼주야 작법 절차(志磐三晝夜作法節次), 삼일 재전 작법 절차(三日齋前作法節次) 등 29종, 권하에는 초일 풍백우 사단 작법(初日風白雨師壇作法), 당산 천왕단 작법(當山天王壇作法) 등 31종을 포함한 총 96종이 실려 있는데, 「수륙재」와 더불어 일반적인 불교 의례의 의식 절차나 작법 절차 및 배설도 등에 대한 의식문이라 할 수 있다.

[의의와 평가]

『천지명양 수륙재의 범음산보집』은 조선 후기 「수륙재」의 성격과 더불어 삼각산 중흥사의 불교 경향을 이해할 수 있는 기초 자료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