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삼한 시대의 일본 열도와의 교류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3250
한자 三韓時代-日本列島와-交流
영어의미역 Exchanges with the Japanese Archipelago during the Three Han States Period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고대/초기 국가 시대/삼한
집필자 이근우

[정의]

삼한 시대 부산 지역과 일본 열도의 교류 현황.

[내용]

변한은 철 생산으로 널리 알려져 있었는데, 풍부한 철을 매개로 중국의 한나라·낙랑군·대방군과 동예·마한·일본 열도의 왜 등 동아시아와 국제 교역을 행하였다. 일본 열도에서는 아직 철을 생산하지 못하였으므로, 변한 중에서도 부산의 독로국과의 교류는 매우 중요하였다.

흑요석(黑曜石)에서 알 수 있듯이, 부산 지역과 일본 열도의 교류는 신석기 시대에 이미 시작되었다. 청동기·철기 시대에 들어서도 이러한 교류는 지속되었다. 『삼국지(三國志)』 위서(魏書) 동이전(東夷傳) 변진조에 의하면 “이 지역에서는 철이 생산되고 한, 예, 왜인들이 모두 와서 사 간다. 시장에서 모든 거래는 철로 이루어져 마치 중국에서 돈을 쓰는 것과 같으며 또 낙랑과 대방 두 군에도 공급한다”라고 하였다.

왜는 변한에서 생산되는 철 소재[덩이쇠(鐵鋌)]를 수입해 가서 단야(鍛冶) 작업을 통해 도구를 생산하였다. 이처럼 삼한 시대 교류의 중심에서 김해 지역에서 생산되는 철이 있었고, 철이 일본 열도로 수출되는 대신 다양한 일본 열도의 제품들이 수입되었다. 그 결과 부산 지역의 조개더미나 고분에서 일본 열도 계통의 물품이 출토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노포동 고분군에서 나온 수정(水晶)·마노(瑪瑙)·호박(琥珀) 등을 소재로 한 목걸이, 부산 동래 패총내성 유적에서 나온 일본 열도계 토기 등을 들 수 있다.

부산과 일본 열도의 교류에서 대마도의 역할도 빼놓을 수 없다. 이미 『삼국지』 위서 동이전에서 “대마도는 좋은 밭이 없어 배를 타고 남북으로 시적(市糴)[쌀을 사들이기 위해 교역함]한다”라고 하였다. 대마도에서 남북이란 이키도[壹岐島]·규슈[九州]와 한반도일 수밖에 없다. 따라서 외교적인 교류 이외에도 대마도를 중심으로 물품 교역을 위한 교류도 활발하게 이루어졌을 것이다.

대마도는 ‘청동기 왕국’이라고 불릴 정도로 다양한 청동기가 발견되었다. 대마도의 청동기는 크게 두 종류로 나눌 수 있는데, 하나는 한반도 쪽에서 들어간 청동기이고 다른 하나는 규슈 지역에서 한반도 청동기를 모방 혹은 변형하여 만든 청동기이다. 일본 열도에서 수입한 물품은 중국제 거울[漢鏡], 동훈(銅釧)[팔찌], 동복(銅鍑)[구리 솥], 화천(貨泉), 마령(馬鈴), 세형 동모, 중형 동모, 세형동검, 동검(銅劍), 파식(把飾)[손잡이 장식], 다양한 형태의 파두(把頭) 등 다른 곳에서 볼 수 없는 독특한 형태의 청동기가 많이 나타난다.

일본 열도에서 수출한 물품은 한경을 모방한 본뜬거울[倣製鏡], 파형 동기(巴形銅器), 통형 동기(筒形銅器), 광형 동모(廣形銅矛) 등이 있다. 이런 청동기는 주로 북부 규슈의 노국(奴國)이나 이도국(伊都國) 등에서 제작되어 대마도로 유입된 것이다. 특히 광형 동모는 이즈모[出雲] 지역에 이어 대마도에서 두 번째로 많이 출토되었다.

한편 삼한계 토기도 대마도를 비롯하여 이키, 북부 규슈 지역에서 다수 출토되고 있다. 특히 하루노츠지[原ノ辻] 유적에서는 600점에 달하는 한반도 계통 토기가 출토되었다. 항아리를 중심으로 한 토기가 많고 음식을 끓이는 도구 등은 발견되지 않은 것으로 보아, 한반도에서 온 사람들을 접대하는 데 주로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 삼한 시대 한반도의 주민들도 빈번하게 일본 열도로 건너갔음을 짐작할 수 있다. 이처럼 대마도를 매개로 한 남북 간의 교역은 김해 지역을 중심으로 생산되는 철과 일본 열도의 청동기·석제품·패류를 중심으로 하였다.

근년에 우루우지토큐[潤地頭給] 유적에서 대형 옥 가공 공방(工房)이 발굴되면서 옥이 한반도의 철과 교역되는 중요 상품일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이곳에서는 벽옥(碧玉)·마노·사문암·수정 등의 원석과 중간 제품, 굽은 옥[曲玉] 등의 완제품이 대량으로 출토되어 부산광역시 금정구 노포동 4호분김해 양동리 고분군 280호분 둥에서 출토된 수정 목걸이 등 한반도에서 나타나는 옥 제품과의 연관성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