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3028
한자 金守賢-碑
영어의미역 Memorial Stone for Songs of Geum Suhyeon
이칭/별칭 그네 노래비
분야 문화·교육/문화·예술
유형 유적/비
지역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1동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창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비|노래비
관련인물 금수현|금누리
재질 대리석
크기 4m[높이]|2m[지름]
소유자 부산광역시 강서구청
관리자 부산광역시 강서구청
건립 시기/일시 1992년 2월 21일연표보기 - 건립
현 소재지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1동

[정의]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1동에 있는 부산의 음악가 금수현(金守賢)을 기리는 노래비.

[건립 경위]

부산에서 태어난 「그네」의 작곡가 금수현의 노래비로, 향토애를 진작시키고 문화 명소를 조성하기 위해 1992년 2월 21일 강서구청이 건립하였다. 강서구청은 금수현의 차남이자 조각가인 금누리에게 의뢰해서 금수현 노래비를 제작하였다.

[위치]

금수현 노래비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1동 사덕 상리 마을 앞둑 낙동강 제방에 위치한다.

[형태]

높이 4m, 지름 2m의 반원형 검은색 대리석판 위에 대표작 「그네」의 악보가 작곡가의 친필로 새겨져 있다. 곡선 원통은 ‘그네’의 율동과 낙동강의 흐름을 형상화한 것이다.

[금석문]

「그네」의 노랫말은 소설가이자 작곡가인 장모 김말봉(金末峰)이 지은 것으로 다음과 같다. ‘세모시 옥색치마 금박물린 저 댕기가/ 창공을 차고 나와 구름 속에 나부낀다/ 제비도 놀란 양 나래 쉬고 보더라// 한 번 구르니 나무 끝에 아련하고/ 두 번을 거듭하니 사바가 발 아래라/ 마음의 일만 근심은 바람이 실어가네.’

[현황]

강서구청이 소유, 관리하고 있다. 일명 ‘그네 노래비’라고도 불린다.

[의의와 평가]

선인(先人)에 대한 추모나 기념 의식이 갈수록 쇠퇴해 가는 오늘날, 지역 음악계의 선구자를 기리는 음악비 건립은 사회 문화적인 측면에서 뜻 깊다. 특히 빗돌에는 작곡가의 대표작 「그네」가 작곡가의 친필 악보로 그려졌고, 그것이 작곡가의 고향에 세워졌다는 사실도 의미를 더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