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녹산 견마도 유물 산포지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2991
한자 菉山牽馬島遺物散布地
영어의미역 Area of Artifacts in Noksan Gyeonma-do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유물 산포지
지역 부산광역시 강서구 녹산동 견마도
시대 조선/조선
집필자 유우창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유물 산포지
관리자 부산광역시청 강서구청
발굴 조사 시기/일시 2002년연표보기 - 신라대학교 박물관이 지표 조사를 실시함
소재지 부산광역시 강서구 녹산동 견마도
출토 유물 소장처 신라대학교 박물관 - 부산광역시 사상구 괘법동 산1-1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강서구 녹산동 견마도에 있는 조선 시대의 유물 산포지.

[위치]

녹산 견마도 유물 산포지는 눌차도, 토도 등 작은 섬들과 인접하고 있지만, 크게 보아 남쪽으로 가덕도와 북쪽으로 육지의 자연 마을인 송정 사이에 위치한다.

[발굴 조사 경위 및 결과]

부산북항을 대체하기 위하여 추진된 부산신항 개발을 위한 사전 조치로 2002년 신라대학교 박물관이 지표 조사를 실시하였는데, 이때 자기편이 채집되었다.

[출토 유물]

조선 시대의 자기편이 채집되었지만, 주변에 가마터[요지(窯址)]나 분묘는 발견되지 않았다.

[현황]

현재 견마도는 견마교를 통해 육지와 연결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견마도는 현재 무인도이지만 수습된 유물들로 보아 늦어도 조선 시대에는 유인도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비록 조선 시대의 유물만 채집되었지만, 강서구 지역에서 가야허 황후(許皇后) 관련 설화 등이 전해져 오고 있는 점을 고려하면, 유적의 조성 시기가 앞선 시대일 가능성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