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부산광역시립박물관 소장 등잔대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2943
한자 釜山廣域市立博物館所藏燈盞臺
영어의미역 Lamp Stand, Collection of the Busan Metropolitan City Museum
이칭/별칭 부산광역시립박물관 소장 호롱대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물/유물(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평화로 63[대연동 948-1]
시대 조선/조선 후기,근대/개항기
집필자 신명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등잔대
재질 나무|금속
크기 22.5㎝[부산광역시립박물관 소장 등잔대① 길이]|25.8㎝[부산광역시립박물관 소장 등잔대① 높이]|48.8㎝[부산광역시립박물관 소장 등잔대② 높이]|55.5㎝[부산광역시립박물관 소장 등잔대③ 높이]|30.5㎝[부산광역시립박물관 소장 등잔대③ 직경]
소유자 부산광역시립박물관
관리자 부산광역시립박물관
현 소장처 부산광역시립박물관 -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평화로 63[대연4동 948-1]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4동 부산광역시립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조선 후기~개항기의 등잔대(燈盞臺).

[형태]

부산광역시립박물관 소장 등잔대(釜山廣域市立博物館所藏燈盞臺)는 총 3점으로 구성되어 있다. 부산광역시립박물관 소장 등잔대①의 크기는 길이가 22.5㎝, 높이가 25.8㎝이다. 대한 제국 시대에 목재로 제작되었으며, 사실적으로 조각된 거북 모양의 등 받침에 팔각의 죽절형(竹節形) 기둥과 그 끝에 연꽃형의 등잔을 만들었다. 짙은 갈색을 띠고 있는데, 거북의 목과 꼬리 등이 사실적이면서 친근하게 묘사되어 있다. 부산광역시립박물관 소장 등잔대②는 높이 48.8㎝로 조선 후기에 제작되었는데, 원형의 화선이 달린 목등경(木燈鏡)이다. 별로 보이는 곤충과 만개한 모란꽃 무늬가 섬세하게 조각되어 있으며, 녹은 초가 남아 있다. 화선과 등 받침은 분해하여 보관이 간편하도록 만든 조립식이며, 중심대는 대나무 형태를 본떠 만든 죽절상(竹節像)이다. 받침대는 팔각형의 대각판 위에 목판으로 각을 따라 전을 붙인 형태인데, 문양이 섬세하며 유물의 상태는 양호하다.

부산광역시립박물관 소장 등잔대③은 높이 55.5㎝, 직경 30.5㎝로 대한 제국 시대에 제작되었으며, 등잔이 함께 있다. 기둥 상부는 고사리 모양으로 굽어져 있으며 등잔걸이를 끼워 걸쳐 놓을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 등잔은 백자로 되어 있다. 대의 중간은 은행을 매단 듯한 형태로 가공하였으며, 하부는 운문(雲文) 형태로 조각되어 있다. 받침은 소나무로 추정되는데, 팔각의 접시형 대의 가운데를 볼록하게 돋을새김한 뒤 사각의 구멍을 파내어 대를 꽂게 되어 있다.

[특징]

등잔대에 등잔까지 부속된 완전한 등잔대로서 전통 시대와 근대의 다양한 등잔대 형태를 보여 준다.

[의의와 평가]

전통 시대에 등잔을 이용해 불을 밝히던 야간 조명 문화 중에서 등잔대를 이용한 조명 문화를 잘 보여 주는 유물로 평가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