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2940 |
---|---|
한자 | 釜山廣域市立博物館所藏鐎斗-一- |
영어의미역 | Pot with a Handle and Legs, Collection of the Busan Metropolitan City Museum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물/기명류 |
지역 |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평화로 63[대연동 948-1] |
시대 | 고려/고려 |
집필자 | 최정혜 |
[정의]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4동 부산광역시립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고려 시대의 자루솥.
[개설]
초두(鐎斗)는 술이나 음식, 약 등을 끓이거나 데우는 데 사용하던 그릇이다. 형태는 대개 3개의 다리가 달리고 긴 손잡이가 부착되어 있으며, 구리로 만들었다. 다리가 있는 형태를 초두, 다리가 없는 형태를 조두(刁斗)라고 불렀다. 초두는 다리·주구(注口)·뚜껑의 유무에 따라 여섯 가지 형태로 나누어지며, 형태에 따라 용도가 조금씩 다르다.
[형태]
부산광역시립박물관 소장 초두(釜山廣域市立博物館所藏鐎斗)는 총 2점이다. 부산광역시립박물관 소장 초두①의 크기는 높이가 12.5㎝, 입 지름이 15.5㎝이다. 다리는 있으나 물을 따르는 주구(注口)와 뚜껑이 없는 형태이며, 몸체는 발형(鉢形)이다. 아가리는 외반하며, 그 내면에는 단이 새겨 있다. 몸체 외면에도 단이 있으며 중앙 부분에는 2조의 돌대(突臺)가 돌려 있다. 몸체에서 뻗은 말발굽 모양의 다리 3개가 밖으로 벌어져 안정감을 주며, 짐승의 머리 모양이 장식된 손잡이가 부착되어 있다.
부산광역시립박물관 소장 초두②의 크기는 높이가 14.2㎝, 입 지름이 16.5㎝이다. 다리와 주구는 있으나 뚜껑이 없는 형태로, 몸체는 발형이다. 몸체 외면에는 2조의 돌대를 돌렸다. 몸체에서 뻗은 3개의 다리에는 단이 새겨 있으며, 밖으로 벌어져 안정감을 준다. 새의 머리 모양이 장식된 손잡이가 부착되어 있다. 손잡이 반대편에 반원이 덧붙여 있으며, 옆으로 주구가 있다.
[특징]
2점 모두 3개의 다리가 밖으로 뻗어 안정감을 주며, 짐승이나 새의 머리 모양이 장식된 손잡이를 부착하였다.
[의의와 평가]
부산광역시립박물관 소장 초두는 고려 시대 초두의 형태와 금속 공예 기술을 알 수 있게 해 주는 귀중한 자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