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부산광역시립박물관 소장 분청 철화 당초문 병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2832
한자 釜山廣域市立博物館所藏粉靑鐵花唐草文甁
영어의미역 Grayish-blue-powdered Iron Pigment Arabesque-design Bottle, Collection of the Busan Metropolitan City Museum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물/기명류
지역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평화로 63[대연동 948-1]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박경자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분청사기
양식 철화 기법|삼엽문
재질 도토
크기 29.0㎝
소유자 부산광역시립박물관
관리자 부산광역시립박물관
현 소장처 부산광역시립박물관 -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4동 948-1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4동 부산광역시립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삼엽문이 시문된 조선 전기 분청사기 병.

[형태]

15세기에 제작된 부산광역시립박물관 소장 분청 철화 당초문 병(釜山廣域市立博物館所藏粉靑鐵花唐草文甁)은 몸통 아래쪽에 최대경(最大徑)이 있어 안정감이 있는 병이다. 목과 구연부(口緣部)는 파손되었다가 복원되었으며, 직립한 굽다리는 다소 높아 몸통을 경쾌하게 받치고 있다. 높이는 29.0㎝이다.

[특징]

병의 표면 전체에 귀얄로 백토를 분장하였다. 어깨와 몸통의 최대경 부분, 몸통과 굽다리의 경계 부분에 각각 겹선을 음각하였고, 굽다리 아래쪽에는 1줄의 선을 음각하였다. 몸통의 양쪽에 지면에서 피어난 듯이 보이게 좌우대칭 구도의 삼엽문(三葉文)을 철사(鐵砂) 안료로 그렸다. 철화 발색은 흑색이다.

[의의와 평가]

15세기 후반에 철화 기법 분청사기를 제작한 곳으로는 충청남도 공주, 전라남도 무안, 고흥 지역 등이 있다. 그러나 부산광역시립박물관 소장 분청 철화 당초문 병과 같이 붓을 이용하여 그림을 그린 수준으로 철화 기법을 구현한 곳은 충청도 지역뿐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