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2825 |
---|---|
한자 | 釜山廣域市立博物館所藏粉靑印花昌原長興庫銘楪匙 |
영어의미역 | Grayish-blue-powdered Decorated Changwon Jangheunggo Office dish, Collection of the Busan Metropolitan City Museum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물/기명류 |
지역 |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평화로 63[대연동 948-1] |
시대 | 조선/조선 전기 |
집필자 | 박경자 |
[정의]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4동 부산광역시립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조선 전기 분청사기 접시.
[형태]
15세기 전반에 제작된 부산광역시립박물관 소장 분청 인화 창원 장흥고명 접시(釜山廣域市立博物館所藏粉靑印花昌原長興庫銘楪匙)는 안쪽 중심에서 구연부(口緣部)의 끝에 이르기까지 완만한 곡면형(曲面形)을 이루고 있다. 높이는 3.3㎝이다.
[특징]
접시의 안쪽 중심 원에 지명인 창원(昌原)의 오기(誤記)인 ‘창원(昌元)’을 종서(縱書)로 음각한 후에 백상감을 하였다. 이 명문을 중심으로 두 단으로 구획된 문양대 안을 집단연권형(集團連圈形) 인화 기법의 승렴문(繩簾文)으로 채우고 구연부의 안팎에는 상감 기법으로 초문대(草文帶)를 둘렀다. 접시의 뒷면에는 ‘진(長)·흥(興)·고(庫)’라는 세 글자를 같은 간격으로 나누어 표기하고, 바탕을 인화 기법의 주름진 파상문(波狀文)으로 채웠다. 당시의 지명인 ‘창원’이 오기된 것은 제작 과정에서 발생한 문제로 추정된다.
[의의와 평가]
부산광역시립박물관 소장 분청 인화 창원 장흥고명 접시는 사옹원(司饔院) 사기소(沙器所)의 설치가 완료된 1469년 이전에 경상도 창원도호부(昌原都護府)에 속한 자기소(磁器所)에서 제작하여 한성부(漢城府)에 속한 관청인 장흥고(長興庫)에 상납한 공납용 분청사기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