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2751 |
---|---|
한자 | 釜山廣域市立博物館所藏木竹製投壺 |
영어음역 | Tuho |
영어의미역 | Bamboo Jar for Arrow Game, Collection of the Busan Metropolitan City Museum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물/유물(일반) |
지역 |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평화로 63[대연동 948-1] |
시대 | 조선/조선 |
집필자 | 장경준 |
[정의]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4동 부산광역시립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조선 시대의 목죽제 투호(木竹製投壺).
[개설]
투호(投壺)는 두 편으로 나누어 푸른색과 붉은색의 살을 12개씩 가지고 일정한 거리에 놓은 병에 던져 넣은 후, 그 수효로 승부를 결정하는 놀이이다. 본래 중국 당나라 때 성행하였으며, 일찍이 우리나라에 전래되었는데, 조선 시대에는 서울의 궁내(宮內)와 양반 집안에서 주로 행해졌다. 놀이에서 이기는 것을 현(賢), 지는 것을 불승(不勝)이라고 하며, 점수의 많고 적음에 따라서 헌배(獻盃)·벌배(罰盃) 등이 행해진다. 투호병 입구의 지름은 15.15㎝[5치]·12.12㎝[4치]·6.06㎝[2치]이며, 귀의 크기나 종류도 다양하다. 남자들이 주로 놀았지만, 바깥출입이 제한된 양반 부녀자들도 집 안에서 많이 즐겼다.
[형태]
크기는 높이가 36.5㎝, 구경이 6.5㎝, 저경이 18.5㎝이다. 투호 놀이에 사용된 통으로 전체적으로 진한 밤색을 띠고 있다. 아랫부분은 원목을 사발 뒤집은 모양으로 깎아 만들었으며, 그 위에 가는 대나무 통을 결합하여 세운 형태이다.
[특징]
대나무 통의 표면에는 꽃문양을 양각하였는데, 문양이 크면서도 섬세한 편이다.
[의의와 평가]
부산광역시립박물관 소장 목죽제 투호(釜山廣域市立博物館所藏木竹製投壺)는 조선 시대에 다양하게 제작된 투호 가운데 하나로, 당시의 투호통 제작 기법과 문양 등을 비교 연구하는 데 유용한 자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