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부산광역시립박물관 소장 만자문 필통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2747
한자 釜山廣域市立博物館所藏卍字文筆筒
영어의미역 A卍Letter-design Pencil Case, Collection of the Busan Metropolitan City Museum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물/유물(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평화로 63[대연동 948-1]
시대 조선/조선
집필자 신명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만자문 필통
재질 나무
크기 11.3㎝[높이]
소유자 부산광역시립박물관
관리자 부산광역시립박물관
현 소장처 부산광역시립박물관 -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평화로 63[대연4동 948-1]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4동 부산광역시립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조선 시대의 만자문 필통(卍字文筆筒).

[개설]

조선 시대에 붓을 담아 보관하는 필통에는 나무로 만든 필통, 납석으로 만든 필통, 옥으로 만든 필통, 도자기로 만든 필통 등 다양한 종류가 있었으며, 필통을 장식하는 문양에도 여러 종류가 있었다. 만자(卍字) 문양은 독립형의 문양으로 쓰이기도 하였고 십자(十字)의 네 끝에 만자를 계속 연결하여 쓰기도 하였는데, 이는 끊이지 않은 장구한 길상을 뜻하였다.

[형태]

높이는 11.3㎝이다. 받침대 위에 만자문(卍字文)이 양각된 목제 사각 필통으로, 양각된 판의 모서리를 서로 합쳤을 때 직각이 되도록 사면으로 잘라 붙였다. 판재가 비교적 두꺼워 붓을 꽂는 공간이 부족한 듯 하지만 보존 상태는 비교적 양호하다. 일반적인 재료인 나무로 만들었다.

[특징]

불교 사상과 깊은 관련을 갖고 있는 만자가 사용되었는데, 만자문은 길상문(吉祥文)으로 연화문(蓮花文)과 함께 불교 사상과 깊은 관련을 가지고 있다.

[의의와 평가]

부산광역시립박물관 소장 만자문 필통(釜山廣域市立博物館所藏卍字文筆筒)은 만자문이 양각된 목제 사각 필통으로, 조선 시대 문방사우와 관련된 유교 문화 및 불교 신앙, 또는 서예 문화의 일면을 보여 주는 유물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