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2743 |
---|---|
한자 | 釜山廣域市立博物館所藏銅製淨甁 |
영어의미역 | Bronze jar, Collection of the Busan Metropolitan City Museum |
분야 |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물/유물(일반) |
지역 |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평화로 63[대연동 948-1] |
시대 | 고려/고려 |
집필자 | 최정혜 |
[정의]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4동 부산광역시립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고려 시대의 동제 정병(銅製淨甁).
[개설]
정병(淨甁)은 부처 앞에 깨끗한 물을 바치는 공양구로, 일반적으로 목이 긴 병 위에 대롱처럼 생긴 첨대(尖帶)가 붙은 형태이다. 삼국 시대의 금동 관음보살상(金銅觀音菩薩像)에서 관음보살이 한 손에 정병을 든 모습으로 표현되었으며, 고려 불화에서는 수월 관음보살(水月觀音菩薩) 옆에 버드나무 가지를 첨대에 꽂아 놓은 정병을 볼 수 있다. 정병은 크게 주입부, 목 부분[頸部], 몸체 부분[身部]으로 구성된다. 주입부는 대롱처럼 긴 첨대의 형태이며, 주입부와 목 부분 사이에는 뚜껑 형태의 둥근 테[丸輪]가 있다. 몸체 부분에는 주구부가 있으며, 주구부에는 뚜껑이 있다. 정병은 청자와 청동, 은 등 다양한 재료로 만들어졌으며, 고려 시대 때 사찰에서 공양구로 사용되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형태]
크기는 구경이 1㎝, 높이가 39㎝, 저경이 11㎝이다. 청동으로 제작되었으며, 고려 시대에 유행하였던 가장 일반적인 형태를 띠고 있다. 주구부는 동체의 어깨 쪽에 부착되어 있으며, 긴 목 부분 위에 길고 뾰족한 첨대가 달린 뚜껑이 있다. 첨대 위쪽에는 둥근 구멍이 뚫려 있고, 대는 육각형을 이루고 있다. 주구부는 수리하여 복원한 부분이며, 동체부 일부가 부식되어 파손되었다. 정병에는 아무런 문양이 없다.
[의의와 평가]
부산광역시립박물관 소장 동제 정병(釜山廣域市立博物館所藏銅製淨甁)은 고려 시대의 불교문화를 알 수 있게 해 주는 귀중한 자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