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부산광역시립박물관 소장 동꺽창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2742
한자 釜山廣域市立博物館所藏銅-
영어의미역 Bronze Spear, Collection of the Busan Metropolitan City Museum
이칭/별칭 부산광역시립박물관 소장 꺾창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물/유물(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평화로 63[대연동 948-1]
시대 선사/청동기
집필자 이양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무기|꺾창|동과
재질 청동
크기 26㎝[길이]
소유자 부산광역시립박물관
관리자 부산광역시립박물관
현 소장처 부산광역시립박물관 -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평화로 63[대연4동 948-1]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4동 부산광역시립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청동기 시대의 꺾창.

[개설]

부산광역시립박물관 소장 동꺽창[釜山廣域市立博物館所藏銅戈]은 형태적으로는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 합송리 유적의 출토품과 가장 유사하며, 기원전 2세기경의 것으로 볼 수 있다.

한국식 동꺽창[銅戈]의 출현에 대해서는 크게 두 가지 의견이 있다. 첫 번째는 중국 요서 지역을 중심으로 발견되는 요서식 동꺽창[遼西式銅戈]의 영향을 받아 출현하였다는 설이다. 형태적으로 유사성은 인정되지만 시기적인 관계가 아직 모호하다. 두 번째는 전국 연나라와 전쟁 중 출현하였다는 것이다. 중국 연나라의 주요 무기는 청동꺽창과 동꺽창이였다. 때문에 전쟁을 통해 영향을 받아 한국식 동모와 한국식 동꺽창이 출현하였다는 의견이다. 중국의 동꺽창은 전차전에 사용되는 무기로 원거리의 적을 걸어 베는 목적으로 사용되었지만, 한반도에서는 전차를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근거리에서 적을 내려찍는 용도로 변화하였다.

[형태]

청동으로 만들어졌으며, 길이는 26㎝이다. 가장 일반적인 동꺽창의 형태를 하고 있다. 봉부(鋒部)는 짧고, 혈구(穴口)가 양쪽에 각 2개씩 있으며 별다른 무늬는 없다. 혈구는 등대를 기준으로 떨어져 있는 형식이다. 전체적인 형태는 이등변 삼각형에 가깝다. 봉에 끼우기 위한 안쪽 부분은 폭이 관부의 1/2 정도로, 폭이 넓어 시기적으로 오래된 것으로 생각된다.

[특징]

봉에 매달기 위해 튀어나와 있는 안쪽의 폭이 넓고, 전체적인 형태가 이등변 삼각형에 가깝기 때문에 고식으로 생각된다.

[의의와 평가]

현재의 중국 베이징[北京] 근처에는 전국 시대 연나라의 수도였던 연하도(燕下都) 유적이 있다. 연하도 유적의 신장두(辛庄頭) 30호 무덤에서 한국식 동꺽창이 발견되었는데, 이것이 어떻게 전국 연나라의 수도에까지 전해졌으며 무덤에 들어가게 되었는지에 대한 많은 견해가 제시되고 있다. 그 무덤의 주인을 고조선과 전쟁을 치룬 연나라의 장수 진개(秦蓋)로 보는 의견이 있는데, 그렇게 보면 한국식 동꺽창의 연대는 기원전 3세기 중엽이라는 결과가 나온다. 이렇듯 제작되고 사용된 연대를 알 수 있는 동꺽창 자료가 증가하면서 이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