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유삼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2681
한자 柳三龍
영어음역 You Samyong
분야 문화·교육/문화·예술,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예술인
지역 부산광역시 서구 아미동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홍희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국악인
성별
출생 시기/일시 1898년연표보기 - 출생
몰년 시기/일시 1970년연표보기 - 사망
거주|이주지 부산광역시
활동지 곱은돌이농악단 - 부산광역시

[정의]

부산 지역에서 활동한 「부산 농악」의 명인.

[활동 사항]

유삼용(柳三龍)[1898~1970]은 1930년대까지 부산광역시 서구 아미동 지역에서 농악대 활동을 하였다. 이후 1930년대 말부터 8·15 광복을 맞이하기 전까지는 일제하의 민족 말살 정책으로 농악대 활동을 중단할 수밖에 없었다. 광복 후 유삼용을 단장으로 15명 내외의 인원이 모여 부산광역시 서구 서대신동에서 곱은돌이농악단을 만들어 걸립 농악을 시작하였다. 이는 「부산 농악」의 발단이 되었고, 유삼용은 「부산 농악」의 창시에 큰 이바지를 하게 되었다. 하지만 오래 지속하지 못하고 해체되어 6·25 전쟁을 맞았다.

유삼용이 창시에 큰 기여를 한 「부산 농악」의 특징은 첫째로 집돌이와 걸립 농악을 바탕으로 하며, 둘째로 지신밟기에 앞서 당산굿을 치면서 모듬굿과 기제(旗祭)를 지내며, 셋째로 판굿의 연극적 농사굿과 북춤이 돋보이며, 넷째로 버꾸놀음의 기능이 뛰어나다는 점을 꼽을 수 있다. 「부산 농악」을 기초로 1953년 정초에 아미농악단이 창단되었다. 지신밟기·성주풀이·소리[비나리]의 명인이었던 유삼용은 1970년 사망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