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2601 |
---|---|
한자 | 水晶山配水池 |
영어의미역 | Ssujeong Mountain Water Reservoir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유적/유적(일반) |
지역 | 부산광역시 동구 수정4동 1011-795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집필자 | 홍순연 |
[정의]
부산광역시 동구 수정동에 있는 일제 강점기 때 건립된 상수도 배수지.
[건립 경위]
일본이 식민 사업을 위해 부산에 일본인 거류민을 크게 늘리자 물 부족이 발생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해 건립되었다. 범어사 정수장에서 생산된 수돗물을 자연류하(自然流下)[자연스러운 경사를 활용하여 물을 흘러가게 하는 것]에 의해 수정산 배수지로 물을 보내어 부산의 중구, 서구, 동구 등 도심 지역으로 급수하였는데, 약 4만 5000명 분의 급수를 공급하였다. 1928년 8월 착공하여, 1931년 5월에 준공하였다. 설계자는 좌야등차랑(佐野藤次郞)이며, 시공자는 천견충차(淺見忠次)이다. 두 사람은 1910년 당시 조선총독부 내무부 지방국에서 수도 사무에 종사하는 직원이고, 천견충차는 부산수도사무소 소속으로 등록되어 있다.
[위치]
수정산 배수지는 부산광역시 동구 수정4동 1011-795번지에 있는 망양로 부근에 위치한다. 주변에 수정4동 주민센터와 동구노인종합복지관이 있다.
[형태]
대지 면적은 약 1만 6368㎡이며, 배수지 용량은 1만 9,375㎥이다. 원래는 2지였으나 현재는 3,875㎥, 2지수로 구성되어 있다. 지붕과 벽체는 라멘 구조[Rahmen, 골조 구조의 절점(節點)이 고정되어 있는 구조 형식인데 일반적으로 기둥과 보가 강성(剛性)으로 접합되어 연속적으로 이루어진 골조]이고, 지붕은 흙을 덮어 잔디를 식재하여 마감하였다.
[현황]
부산광역시가 소유, 부산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에서 관리하고 있다. 현재는 배수로 기능을 하지 않고 조절지의 역할을 하고 있다. 일부 공간은 공원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향후 배수지 시설로 개조할 예정이다.
[의의와 평가]
수정산 배수지는 1910년대 구덕 수원지, 구 성지곡 수원지, 복병산 배수지가 설치된 뒤 건립된 배수지로, 부산의 도시 형성과도 밀접한 관련을 가지며, 향토사적 가치가 높은 건물이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