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2567
한자 龜浦一洞所在理髮所
영어의미역 Barbershop in Gupo 1-dong
분야 역사/근현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건물
지역 부산광역시 북구 구포만세길 163[구포1동 307-1]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홍순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건물|주택
양식 일본 점포 병용 형식
소유자 설스티븐호경 외 1명
관리자 설스티븐호경
현 소재지 부산광역시 북구 구포1동 307-1

[정의]

부산광역시 북구 구포1동에 있는 일제 강점기의 일본 점포 병용식 주택.

[위치]

구포1동 소재 이발소(龜浦1洞所在理髮所) 건물은 부산광역시 북구 구포1동 307-1번지, 낙동대로와 경부선 철로 사이의 구포 만세길 주변에 위치한다. 인근에는 구포1동 치안센터와 경부선 역사인 구포역이 있다.

[변천]

구포1동 소재 이발소 건물은 일제 강점기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건립 이후 상업적 용도에 따라 내부 공간의 변형이 일어났는데, 일부 공간을 이발소로 활용하기 위해 왼편 부분을 블록으로 공간 확장하였다.

[형태]

일본 점포 병용식 주택[마쯔야, 1층은 상업 공간, 2층은 주거 공간]의 형태를 가지고 있다. 외벽은 비닐판 벽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수평과 수직 기둥을 일정한 간격으로 두어 구조의 틀을 잡고 판벽을 붙였다. 기둥 간의 간격은 90~120㎝이며, 상부는 목재 절판 붙임 형식으로 하였고, 폭은 25㎝ 정도이다. 지붕은 맞배지붕 형태이고, 1층에 추가로 눈썹지붕이 있으며 일식 평기와와 함석판을 사용하였다. 상업 활동을 위하여 하부는 네 짝의 미세기를 사용하였다. 2층은 중간의 네 짝 창호를 중심으로 왼쪽에 2개의 수직 창이 배치되어 있으며, 측면에도 2개의 수직 창이 구성되어 있다. 일부 상부 부분에 회벽을 바른 흔적이 나타나므로 전형적인 일본 점포 병용 형식의 주택 양식임을 알 수 있다.

[현황]

현재 구포1동 소재 이발소 건물의 소유자는 설스티븐호경 외 1명이고, 관리자는 설스티븐호경이다.

[의의와 평가]

구포1동 소재 이발소 건물은 폭 4m 정도의 거리를 두고 건물이 마주 보고 있는 일본식 생활 가로[골목]의 양쪽 가운데 한쪽의 모습을 보여 주는 건축물이다. 건너편과 주변의 건축물 자체는 신축 개조되어 옛 모습이 사라졌으나, 마주 보는 건물 간의 거리와 높이는 예전과 같이 유지되고 있다. 이로써 일본식 골목의 형식과 건축물의 배치 구조가 현재에도 유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구포1동 소재 이발소 건물은 일본식 건축물의 유입과 형성을 살펴볼 수 있는 유적으로서, 근대 도시 형성사를 연구하는 데 소중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