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2548 |
---|---|
한자 | 東光洞住宅擁壁 |
영어의미역 | Retaining Wall of Donggwang-dong Houses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유적/유적(일반) |
지역 | 부산광역시 중구 동광동 44 |
집필자 | 김기수 |
[정의]
부산광역시 중구 동광동에 있는 주택 옹벽.
[개설]
동광동 주택 옹벽은 원래 부산유치원의 옹벽이었지만, 부산유치원이 철거되어 주택 옹벽으로 사용되고 있다. 옹벽은 토압력(土壓力)에 저항하여 흙이 무너지지 않게 만든 벽체(壁體)로, 경사를 가파르게 했을 경우에 일어나는 지반 붕괴를 막기 위한 것이다. 흙을 쌓아 올릴 때, 산을 깎아 낼 때, 해안을 메울 때 등 옹벽을 설치하는데, 블록 쌓기와 중력식(重力式) 콘크리트 옹벽 및 특수 철근콘크리트 옹벽 등 여러 형식이 있다.
[건립 경위]
정확한 건립 시기는 알 수 없으나, 옹벽 위에 부산유치원을 설립한 것이 1897년 3월이다. 옹벽의 건립 경위는 두 가지로 추정되는데, 하나는 이 일대의 지반이 견고하여 비탈 다듬기가 힘들어 부산유치원을 건립하기 위해서는 옹벽 구축이 필요하였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1678년 초량 왜관을 건립할 때 토사가 무너져 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돌 흙막이로서 옹벽을 구축하였다는 것이다.
[위치]
동광동 주택 옹벽은 부산광역시 중구 동광동 44번지에 위치하며, 중앙동 사거리에서 복병산 체육공원 방면에 있다.
[형태]
동광동 주택 옹벽은 가로 40㎝, 세로 30㎝의 정갈하게 다듬어진 마름돌을 이용하여 길이 5m, 높이 3.5m 크기로 마름돌쌓기를 하였다. 마름돌쌓기 기법에는 새로 맞춤새를 일정한 규칙으로 쌓는 정층(整層) 마름돌쌓기 기법과 가로 부분이 일직선이 되지 않게 하는 난층(亂層) 마름돌쌓기 기법이 있는데, 동광동 주택 옹벽은 정층(整層) 마름돌쌓기 기법을 사용하였다. 줄눈이 모르타르로 처리되어 있는 등 개·보수의 흔적이 보인다. 한편 건물 뒤쪽에 있는 옹벽은 좀 더 짜임새 있고 완전하게 구성되어 있어, 이 옹벽도 역사 건조물로 눈길을 끈다.
[현황]
중구청이 소유, 중구청 도시과에서 관리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일본 특유의 성벽 쌓기 기법을 보여 주고 있는 석축으로서 비교적 원래의 모습을 유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