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황순조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2486
한자 黃順朝
영어음역 Hwang SunJo
분야 문화·교육/교육,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인물(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동구 수정중로 29[수정동 558]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지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교육자
성별
대표경력 부산동여자고등학교 교장
출생 시기/일시 1922년 3월 3일연표보기 - 출생
수학 시기/일시 1939년 - 부산항공립고등여학교 졸업
수학 시기/일시 1941년 - 도쿄가정전문대학 졸업
활동 시기/일시 1942년 1월 30일 - 동래여자중학교 교사로 재직
활동 시기/일시 1947년 2월 28일 - 경남공립여자중학교 교유로 재직
활동 시기/일시 1948년 9월 1일 - 상해 한교 인성학교 교사로 재직
활동 시기/일시 1952년 9월 1일 - 부산제일여자고등학교 강사로 재직
활동 시기/일시 1953년 1월 5일 - 경남여자고등학교 교사 겸 경상남도 학무과 장학사로 재직
활동 시기/일시 1961년 9월 4일 - 부산진여자상업고등학교 교장으로 재직
활동 시기/일시 1970년 5월 5일 - 은하여자중학교 교장으로 재직
활동 시기/일시 1975년 9월 1일 - 부산동여자고등학교 교장으로 재직
활동 시기/일시 1979년 3월 1일 - 경남여자고등학교 교장으로 재직
활동 시기/일시 1984년 3월 1일 - 부산동여자고등학교 교장으로 재직
활동 시기/일시 1962년 10월 11일 - 경상남도 지사 표창
활동 시기/일시 1972년 9월 18일 - 교육감 표창
몰년 시기/일시 1985년연표보기 - 사망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71년 12월 5일 - 대통령 국민 표창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72년 12월 5일 - 문교부 장관 표창장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80년 12월 22일 - 문교부 장관 표창장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82년 12월 5일 - 국민 훈장 동백장
출생지 부산광역시 동구 범일동
거주|이주지 부산광역시 동래구 연산7동 663-24
학교|수학지 부산항공립고등여학교 - 부산광역시 동구 수정중로 29지도보기
활동지 경남여자고등학교 - 부산광역시 동구 수정중로 29지도보기

[정의]

부산 출신의 여성 교육자.

[가계]

1922년 3월 3일 부산광역시 동구 범일동에서 아버지 황기학(黃起鶴)과 어머니 김자금(金子今) 사이에서 2남 5녀 중 셋째로 태어났다.

[활동 사항]

황순조(黃順朝)는 1939년 부산항공립고등여학교[현 경남여자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일본으로 건너가 1941년 도쿄가정전문대학을 졸업하였다. 졸업 후 부산으로 돌아와 1942년 동래여자중학교를 시작으로 가정과 교사 생활을 시작하였다. 황순조는 26세가 되던 1948년 독립운동가인 서영해(徐嶺海)와 결혼하였다. 결혼과 동시에 교직을 그만둔 황순조는 1948년 8월경 남편 서영해의 일로 프랑스로 가기 위해 중국 상하이로 갔다. 그러나 황순조의 프랑스 여권이 미처 발급되기 전에 중국이 공산화되면서 프랑스로 가지 못하고 한국으로 강제 송환되는 과정에서 남편과 헤어져 자신만 한국으로 돌아왔다. 이후 남편과 재회하지 못했으며, 평생 재혼하지 않고 혼자 살았다.

고향으로 돌아온 황순조는 1952년 부산제일여자고등학교로 복직하였다. 1953년 모교인 경남여자고등학교에 발령을 받고 부산의 첫 여성 장학사가 된 것을 시작으로, 1961년 부산진여자상업고등학교부산진여자중학교에 교장으로 부임하면서 부산 지역 첫 여자 교장이 되었다. 황순조는 1960~1970년대 여성 관련 교육이 거의 전무했던 시대적 한계 속에서도 현실적인 여성 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여성의 자활 능력과 사회성, 비판 능력을 키우는 교육을 할 것을 주장하기도 하였다. 그녀는 1985년 사직할 때까지 부산 시내 여러 학교의 교장을 지냈다. 1985년 암으로 투병 중 건강이 악화되어 사망하였다.

[저술 및 작품]

1978년에 「성교육의 프로그램」이란 글을 『새교육』에 발표하였다.

[상훈과 추모]

1971년 12월 5일 대통령 국민 표창[제845호]을 받았다. 1972년 12월 5일 문교부 장관 표창장[국민 교육 헌장 선포 4주년 기념 공적상]을 받았으며, 1980년 12월 22일 문교부 장관 표창장[연공상 제3813호]을 받았다. 1982년 12월 5일 국민 훈장 동백장[국민 교육 헌장 선포 14주년 제2177호]을 받았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