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도기 말머리장식 뿔잔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2440
한자 陶器-裝飾-盞
영어의미역 Horn Chalice with the Design of Horse Head
이칭/별칭 마두식 각배(馬頭飾角杯)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물/기명류
지역 부산광역시 동래구 복천로 66[복천동 50]
시대 고대/삼국 시대
집필자 이연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1975년 5월 16일연표보기 - 도기 말머리장식 뿔잔 보물 제598호로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도기 말머리장식 뿔잔 보물로 재지정
현 소장처 동아대학교 박물관 - 부산광역시 서구 구덕로 225[부민동 2가 1]지도보기
현 소장처 국립중앙박물관 -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출토|발견지 부산 복천동 고분군 - 부산광역시 동래구 복천동 50 일원지도보기
성격 말 머리 모양 장식의 뿔잔
양식 말 그림
재질 토기
크기 소형: 17㎝[길이], 7.5㎝[입지름]|대형: 20㎝[길이], 8.8㎝[입지름]
소유자 동아대학교
관리자 동아대학교 박물관|국립중앙박물관
문화재 지정번호 보물

[정의]

부산 복천동 고분군에서 출토된 삼국 시대의 말머리 장식 뿔잔.

[개설]

도기 말머리장식 뿔잔은 부산 복천동 고분군 7호에서 한 쌍으로 출토되었다. 1975년 5월 16일 보물 제598호로 지정되었으며,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보물로 재지정되었다. 그중에 크기가 큰 것이 동아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고, 작은 것은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형태]

작은 것이 길이 17㎝, 입지름 7.5㎝이고, 큰 것이 길이 20㎝, 입지름 8.8㎝이다. 도기 말머리장식 뿔잔의 밑 부분 끝이 말 머리 모양으로 장식되어 있다. 뿔잔[角杯]이란 본래 쇠뿔과 같은 동물의 뿔[각]로 만든 것을 말하지만, 넓게는 흙이나 금속 등으로 뿔잔의 형태를 본떠 만든 것도 포함시키고 있다.

도기 말머리장식 뿔잔은 양질의 점토를 얇게 빚어 붙이고, 그 뒤쪽으로 조그만 다리를 2개 붙여 넘어지지 않게 하였다. 말 머리의 전체적인 형상은 간결한 솜씨로 다소 거친 맛을 보여 주면서도, 귀·눈·코 등 말의 특징적인 표정을 잘 나타내고 있다. 표면에는 조각칼 따위로 깎아 다듬은 자국이 남아 있다.

도기 말머리장식 뿔잔은 잔의 밑 부분을 비스듬히 늘어뜨려 말 머리 장식을 붙인 매우 특이한 뿔 모양의 토기 잔으로, 비스듬한 잔의 균형을 잡기 위하여 밑바닥 두 속에 다리를 붙여 놓은 기발한 착상을 보여 주고 있다. 말 머리는 전체적인 인상이 미소를 짓고 있는 애교 있는 표정으로 소박한 조형미가 느껴진다.

[특징]

입은 넓고 뿔잔 끝은 위로 계속 들리면서 말의 목이 되었고, 그 위에 말머리가 붙어 있다. 길쭉한 얼굴이나 벌린 입·코·눈·귀·아래턱 등이 모두 사실적으로 표현되어 있으며, 뒤쪽에는 이 뿔잔이 말 머리를 앞으로 하여 안전하게 놓일 수 있도록 2개의 발을 달았다. 기표(器表)는 흑회색을 띠었고, 전면을 대칼 같은 것으로 다듬은 자국이 남아 있으며, 말머리도 이런 식으로 다듬어져 있다. 신라 토기나 가야 토기의 여러 뿔잔 중에서도 걸작에 속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신라·가야 지역의 무덤에서는 여러 형태의 뿔잔이 다수 출토되었는데, 특히 부산 복천동 고분군 7호에서 출토된 도기 말머리장식 뿔잔은 그 제작 기법으로 볼 때 우수한 작품으로 꼽히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