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2273
한자 竹城里信仰村石築
영어의미역 Stone Embankment at Sinangchon in Jukseongri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유적(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죽성리 714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김영민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석축
양식 성곽
크기 3m[높이]|6m[폭]|50~90㎝[할석 크기]
소유자 개인
관리자 부산광역시 기장군청
발굴 조사 시기/일시 2005년 4월연표보기 - 복천박물관 지표 조사 실시
현 소재지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죽성리 714

[정의]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죽성리에 있는 조선 시대의 석축.

[위치]

죽성리 신앙촌 석축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죽성리에 있는 기장신앙촌의 주차장 부지 남동쪽의 야트막한 구릉에 위치한다.

[형태]

50~90㎝의 할석을 높이 3m가량 쌓아서 만든 축대로, 약 6m가량 남아 있다.

[현황]

죽성리 신앙촌 석축은 남쪽은 밭으로 경작되고 있으며, 주변 지역은 신앙촌의 주차장 부지로 활용되고 있다. 현재 잡목과 잡초로 뒤덮인 상태이므로 별도의 보존을 위한 시설이 필요하다.

[의의와 평가]

축성에 대한 발굴 조사가 있었지만, 조사가 부분적으로 이루어져 정확한 내용을 파악하기 어렵다. 죽성리 신앙촌 석축 주변에는 고려 후기에 축성된 두모포진성(豆毛浦鎭城)과 임진왜란 시기에 축성된 죽성리 왜성(竹城里倭城)이 있다. 따라서 죽성리 일원에 있는 진성과 왜성을 포함한 종합적 조사를 통하여 관련 시설의 성격을 명확히 연구할 필요가 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