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2264
한자 機張山城
영어의미역 Jigangsanseon Fortress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유적(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서부리 산9-1|대라리 산20-2|철마면 안평리 산112-2
시대 고대/삼국 시대/신라
집필자 나동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2012년 5월 17일연표보기 - 기장산성 부산광역시 기념물 제59호로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기장산성 부산광역시 기념물로 재지정
현 소재지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서부리 산9-1
현 소재지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대라리 산20-2
현 소재지 부산광역시 기장군 철마면 안평리 산112-2
성격 성곽|산성
양식 포곡식|협축식
크기 2.5m[높이]|755m[둘레]
소유자 국유
관리자 부산광역시 기장군
문화재 지정번호 부산광역시 기념물

[정의]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대라리, 서부리철마면 안평리에 걸쳐 있는 삼국 시대의 석축 산성.

[건립 경위]

성내에서는 기장 읍내는 물론 멀리 울산 방향과 기장에서 반송 또는 철마, 송정을 거쳐 동래에 이르는 길목과 기장 앞바다까지 조망되고 있다. 이러한 입지 조건으로 보아 기장 주변의 교통로 및 왜구에 대한 해안 감시를 위하여 축조된 것이며, 기장 고읍성 축조 이전인 삼국 시대를 전후해서 축조된 것으로 추정된다.

[위치]

기장산성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대라리 산20-2번지, 서부리 산9-1번지, 철마면 안평리 산112-2번지 일대에 위치한다.

[형태]

골짜기를 포함하고 있는 포곡식 산성(包谷式山城)으로, 청강리 고분군의 서쪽 해발 350m 고지에 축조된 석축성이다. 성벽은 북쪽이 가장 높고 서쪽과 동쪽으로 갈수록 낮아진다. 성의 규모는 둘레 약 775m, 성벽의 너비는 5m 내외로, 상부에 증축(增築)된 것으로 보이는 2m 너비의 성벽이 축조되어 있다. 성벽은 안쪽과 바깥쪽 모두를 석축으로 쌓은 협축식(夾築式)으로, 잔존 성벽의 높이는 외벽이 1~3m 정도이고 내벽은 양호한 곳이 약 2.5m 정도로 그 내부는 돌로 채워져 있다. 성벽은 거의 수직에 가까우며 증축(增築)된 성벽은 대체로 20×30㎝에서 40×65㎝의 화강암을 잔돌 끼워 쌓기로 축조하였는데, 축성 상태는 비교적 조잡하다. 그러나 하부의 초축(初築) 성벽은 55×23㎝ 크기의 석재로 틈이 없이 쌓았으나 대부분 허물어진 상태이다.

부속 시설로 성문은 개방 형식으로, 좌우 성벽을 안쪽으로 중첩되게 쌓아 외부에서 쉽게 안쪽을 볼 수 없게 하였는데 북서쪽과 동남쪽 계곡에서 각각 한 개씩, 남서쪽에서 한 개, 모두 3곳이 확인되었다. 치(雉)는 동벽과 북벽이 이어지는 성벽의 바깥에 증축된 것으로 동벽과 북벽이 만나는 굴곡 지점에 설치되었다. 남쪽 성벽과 동벽과 북벽이 만나는 외곽에 건호(乾濠)[물이 채워지지 않은 마른 해자]가 설치되었는데, 남쪽의 경우 성벽에서 5m 정도 거리를 두고 너비 10m의 완만한 U 자형으로 되어 있고, 북벽이 만나는 지점도 비슷한 규모이다. 성 내부의 시설로는 정상부에 직경 약 10m, 깊이 2~3m 정도 규모의 연못이 있는데, 만수(滿水) 시에는 물이 흘러넘치도록 동서 방향으로 고랑이 나 있다. 연못에서 약 50m 아래 지점 바위틈에는 샘이 있다.

[현황]

현재 성곽은 비교적 양호하게 보존되고 있으며, 기장군 기장읍 대라리에서 정상 아래까지 임도가 개설되어 등산로로 이용되고 있다. 성내 정상부에는 간이 원두막형 파고라와 벤치 등이 배치되어 있어 주민들의 산책 코스로 이용되고 있다.

[의의와 평가]

기장 지역 성곽 중 가장 이른 시기의 유물이 수습되는 유적으로, 배산성[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 배산 소재]과 비슷한 시기까지 소급될 수 있어 삼국 시대 갑화량곡현(甲火良谷縣)[기장현의 신라 시대 이름]의 행정 사무를 맡아보는 기관이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 2012년 5월 17일 부산광역시 기념물 제59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부산광역시 기념물로 재지정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