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2249 |
---|---|
한자 | 蓮花里遺物散布地 |
영어의미역 | Area of Artifacts in Yeonhwa-ri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유물 산포지 |
지역 |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연화리 101-1|3|196|197|198|199|200|201|202|203|204|205|240|242 |
시대 | 고대/남북국 시대,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김영민 |
[정의]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연화리에 있는 남북국 및 조선 후기의 유물 산포지.
[위치]
연화리 유물 산포지는 바다가 바라보이는 기장읍 연화리 신암 마을 서쪽의 야산 자락에 위치한다. 154m의 연화봉 북동쪽의 경사가 완만해지는 구릉 말단부에 있다. 북쪽으로 대변항이 있고, 동쪽으로 동해와 맞닿아 있다.
[발굴 조사 경위 및 결과]
연화리 유물 산포지는 발굴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아 유적의 자세한 내용을 알 수 없다. 다만 연화봉을 사이에 두고 청광리 유물 산포지가 입지해 있는데, 이것과 연관된 흔적일 것으로 추정된다. 채집된 유물은 남북국 시대의 토기편과 조선 시대의 백자편이 있다.
[출토 유물]
도장무늬토기[인화문 토기(印花紋土器)] 등이 채집되었는데, 이는 8세기 이후에 제작된 남북국 시대의 유물로 파악된다. 아울러 조선 후기의 유물로 추정되는 백자편이 다수 채집되었다.
[현황]
현재 계단상의 밭을 일구어 작물을 경작하고 있어 유적 훼손이 진행되고 있다. 최근 북서쪽으로 인접한 지역에 동부산 관광 단지 개발 사업과 관련하여 일부 면적에 대하여 시굴 조사가 실시되었는데, 유구(遺構)[옛날 토목건축의 구조와 양식을 알 수 있는 실마리가 되는 자취]는 확인되지 않았다.
[의의와 평가]
바다와 인접한 지역으로 해안 취락이 입지할 것으로 추정된다. 다만 인접 지역에 대한 시굴 조사에서 유구가 확인되지 않았다는 점을 염두에 둔다면 보다 면밀한 주의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