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길천리 유물 산포지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2232
한자 吉川里遺物散布地
영어의미역 Area of Artifacts in Gilcheon-ri
이칭/별칭 길천리 유물 분포지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유물 산포지
지역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길천리 산76|산77|산77-1|산78-1|379-1
시대 조선/조선
집필자 이재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유물 산포지
소재지 길천리 유물 산포지 -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길천리 산76지도보기
소재지 길천리 유물 산포지 -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길천리 산77지도보기
소재지 길천리 유물 산포지 -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길천리 산77-1지도보기
소재지 길천리 유물 산포지 -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길천리 산78-1지도보기
소재지 길천리 유물 산포지 -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길천리 379-1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길천리에 있는 조선 시대의 유물 산포지.

[위치]

월내천(月內川)이 남동 방향에서 동쪽으로 완만하게 곡류하다 월내 철교(月內鐵橋)를 만나면서 급격하게 남쪽으로 꺾여 동해로 빠져든다. 길천리 유물 산포지는 이 월내천 우측에 위치한 평야[일들]의 북쪽으로 뻗은 야트막한 구릉[해발 25m] 정상부와 동쪽 사면부에 분포한다. 기장군 장안읍 월내리에서 고리 방향으로 월내교를 지나 150m 정도 진행하면 주유소 사거리가 나오는데 여기서 북쪽 반룡리로 가는 도로를 따라 400~500m 정도 진행하면 도로 우측에 해당된다.

[출토 유물]

분청사기와 백자 파편이 채집되었는데 분청사기가 주를 이룬다.

[현황]

길천리 유물 산포지는 아직 발굴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아 정확한 성격을 파악할 수 없다.

[의의와 평가]

채집된 유물이 분청사기를 비롯한 자기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넓은 평지에 위치한 입지로 볼 때 조선 시대 주거지를 비롯한 생활 유적이 분포할 가능성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