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2161
한자 洪鐘英永世不忘碑
영어의미역 Memorial Tablet of Hong Jongyeong
이칭/별칭 순상국 홍공종영 영세불망비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비
지역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 산24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장명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비|불망비
관련인물 홍종영(洪鐘英)
재질
크기 120㎝[가로]|45㎝[너비]|17㎝[두께]
건립 시기/일시 1845년연표보기 - 건립
관련 사항 시기/일시 1843년연표보기 - 홍종영 경상도 관찰사 부임
관련 사항 시기/일시 1845년연표보기 - 홍종영 경상도 관찰사 퇴임
현 소재지 윤공단 -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 산24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에 있는 조선 후기 경상 관찰사 홍종영(洪鐘英)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

[건립 경위]

홍종영 영세불망비(洪鐘英永世不忘碑)는 1845년(헌종 11) 7월 서평진 군졸, 군뢰, 사령 등이 홍종영의 선정을 기려 세웠다. 홍종영은 1843년(헌종 9)부터 1845년까지 경상 관찰사를 지냈다.

[위치]

홍종영 영세불망비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 산24번지 윤공단(尹公壇) 내에 있다.

[형태]

가로 120㎝, 너비 45㎝, 두께 17㎝의 석비로 대좌는 없으며 개석은 가첨석이다. 비의 뒷면에 감역, 이방 등의 이름이 새겨져 있다.

[금석문]

비의 앞면에는 ‘순상국 홍공종영 영세불망비(巡相國洪公鍾英永世不忘碑)’라는 비제(碑題)와 함께 “선창이 완공되고 군함이 낙성되니/ 이것이 모두 누구의 공로인가. 진영이 지탱하고 민생이 보호되니/ 우리 감사 덕이로다[艙完艦成 伊誰之力 鎭支民保 吾伯之德]”라고 적혀 있고, 뒷면에는 “을사년 7월 서평진 군교, 인리, 주졸 등이 세우다. 감역 이방 박지성, 교리 이석인, 색 이근택[乙巳七月日西平鎭校吏舟卒等立 監役 吏房 朴枝成 校吏 李錫寅 色 李根宅]”이라고 되어 있다.

[현황]

윤공단 어귀 계단의 바로 오른편에 위치한 비석군 중의 하나이다.

[의의와 평가]

홍종영 영세불망비는 조선 후기 관찰사의 업무를 알 수 있는 자료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