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2135
한자 崔德奉墓
영어의미역 Tomb of Choi Deokbong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능묘
지역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연화길 53-8[연화리 190-1]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박미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양식 원형 봉토분
관련인물 최덕봉(崔德奉)[?~1777]
봉분크기/묘역면적 분묘: 4.7m[동서 직경], 3.9m[남북 직경], 0.8m[높이]
피장자 몰년 시기/일시 1777년연표보기 - 사망
관련 사항 시기/일시 1785년 - 후손 최응대 등이 묘비 건립
현 소재지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연화리 190-1

[정의]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연화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절충장군 최덕봉(崔德奉)의 묘.

[위치]

최덕봉 묘(崔德奉墓)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연화리 190-1번지에 있다. 나지막한 언덕 위에 동향(東向)하여 위치한다.

[변천]

최덕봉[?~1777]은 1777년(정조 1)에 병사하여 지금의 자리에 묻혔다. 1785년(정조 9) 그의 후손인 최응대(崔應大) 등이 다시 묘비를 세웠으나, 현재 마멸이 심해 공적 등을 새긴 비석 뒷면을 판독할 수 없다.

[형태]

분묘의 크기는 동서 직경 4.7m, 남북 직경 3.9m, 높이는 0.8m 정도이다. 묘의 동쪽에 비석과 묘판이 있는데, 묘판과 비석은 자연석을 치석하였으며 비석은 후대에 시멘트로 보수한 흔적이 있다. 비석은 이수(螭首)가 없이 비신(碑身)의 상부 양쪽 끝을 경사지게 자른 형태이다. 자연석을 치석한 대석(臺石)도 갖추어져 있다.

[금석문]

비의 앞면에 ‘절충장군최덕봉지묘(折衝將軍崔德奉之墓)’라고 새겨져 있다.

[현황]

최덕봉의 후손들이 현재 기장군 기장읍 대변리, 연화리에 많이 살고 있다.

[의의와 평가]

최덕봉 묘를 통해 조선 시대 양반 묘의 형태를 잘 알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