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2117
한자 趙秉鉉去思碑
영어의미역 Stone Monument for Honoring Jo Byeonghyeon’s Beneficient Government
이칭/별칭 순상국 조공병현 거사비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비
지역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동부리 292 기장 향교 동편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우정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비|거사비
관련인물 조병현(趙秉鉉)[1791~1849]
재질
크기 101㎝[높이]|33.5㎝[너비]|4.5㎝[두께]
관리자 부산광역시 기장군청
건립 시기/일시 1836년연표보기 - 건립
관련 인물 생년 시기/일시 1791년연표보기 - 조병현 출생
관련 인물 몰년 시기/일시 1849년연표보기 - 조병현 사망
관련 사항 시기/일시 1834년 12월연표보기 - 조병현 경상도 관찰사 부임
관련 사항 시기/일시 1836년 10월연표보기 - 조병현 경상도 관찰사 퇴임
현 소재지 기장 향교 -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동부리 292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동부리에 있는 조선 후기 경상도 관찰사 조병현(趙秉鉉)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

[건립 경위]

조병현 거사비(趙秉鉉去思碑)는 경상도 관찰사 조병현[1791~1849]이 기장현을 순시한 일을 기려 1836년(헌종 2)에 세웠다. 조병현은 1834년(순조 34) 12월부터 1836년(헌종 2) 10월까지 경상도 관찰사로 재임하였다.

[위치]

조병현 거사비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동부리 292번지 기장 향교 동편에 있다.

[형태]

철비(鐵碑)로 비의 크기는 높이 101㎝, 너비 33.5㎝, 두께 4.5㎝이다. 현 위치로 이건할 때 받침돌을 만들어 세웠다. 이수(螭首)는 삼각형 모양이며, 테두리에 구름모양의 두 줄 선이 도드라지도록 주조하였고, 안쪽에도 네 개의 원이 있다.

[금석문]

비의 앞면에는 ‘순상국 조공병현 거사□(巡相國趙公秉鉉去思□)’라는 비제(碑題)가 적혀 있고, 뒷면에는 “도광 십육년 병신 팔월□□(道光十六年丙申八月□□)”이라고 해서체로 새겨져 있다.

[현황]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동부리 기장 향교 동편에 정비해 놓은 공덕비 가운데 하나로, 부산광역시 기장군청에서 관리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조병현 거사비는 조선 시대 비석으로는 보기 드문 철비로서, 그 양식의 특징을 살펴볼 수 있는 자료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