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2109
한자 鄭泰望撫恤庫丁萬世不忘碑
영어의미역 Stone Monument for Cherishing the Virtue of Jeong Taemang
이칭/별칭 병방 정태망 무휼고정 만세불망지비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비
지역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동부리 292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선석열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비|불망비
양식 석비
관련인물 정태망(鄭泰望)
재질 화강암
크기 74㎝[높이]|39㎝[너비]|16㎝[두께]
소유자 국유
관리자 부산광역시 기장군청
건립 시기/일시 1729년연표보기 - 건립
이전 시기/일시 2004년 - 이전
현 소재지 기장 읍성 동문 터 -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동부리 292지도보기
원소재지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동부리 기장 읍성 동쪽 군기고 터 부근

[정의]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동부리에 있는 조선 후기 향리 정태망(鄭泰望)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

[건립 경위]

정태망은 기장현 향리로 관속의 육방 중 병방을 맡고 있었는데, 창고를 관리하는 부역을 지는 장정들을 잘 보살펴 준 공로를 기려 1729년(영조 5) 군민들이 정태망 무휼고정만세불망비(鄭泰望撫恤庫丁萬世不忘碑)를 건립하였다. 기장 읍성 부근에 방치되어 있던 비를 2004년 현재의 장소로 옮겼다.

[위치]

정태망 무휼고정만세불망비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동부리 292번지 기장 읍성 동문 터 앞에 있다.

[형태]

이수(螭首)는 없고, 비신(碑身)과 받침돌만 있다. 비신의 상부는 둥글게 깎았다. 비의 앞면에만 해서체로 비문이 새겨져 있는데, 비면이 마멸되어 3행만 판독할 수 있다. 비의 크기는 높이 74㎝, 너비 39㎝, 두께 16㎝이다.

[금석문]

비석에는 ‘병방 정태망 무휼 고정 만세불망지비(兵房鄭泰望撫恤庫丁萬世不忘之碑)’라는 비제(碑題)와 함께 “옹정칠년기유정월 일(擁正七年己酉正月 日)[옹정 7년(1729, 영조 5) 기유년 정월 일에 세웠다]”이라고 적혀 있다.

[현황]

비석의 오른쪽 아랫부분이 약간 떨어져 나갔고 비면이 약간 마멸되어 있으나, 글자는 판독이 가능하다. 부산광역시 기장군청에서 관리한다.

[의의와 평가]

조선 후기 기장현에는 무기 등 군기(軍器)를 보관하던 군기고(軍器庫)와 제수(祭需)나 공물(公物)을 보관하던 빙고(氷庫) 등이 있었는데, 정태망 무휼고정만세불망비를 통해 장정들이 이 창고를 관리하는 부역을 지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조선 시대 기장 지역에서 향리들이 지역민에게 행한 행정적 배려 내용을 파악할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