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2102
한자 鄭塾去思碑
영어의미역 Stone Monument for Honoring Jeong Suk’s Beneficient Government
이칭/별칭 현감 정후숙 거사비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비
지역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동부리 292 기장 향교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우정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비|거사비
양식 석비
관련인물 정숙(鄭塾)
재질 화강암
크기 87㎝[높이]|35.5㎝[너비]|11.5㎝[두께]
관리자 부산광역시 기장군청
건립 시기/일시 1870년연표보기 - 건립
관련 사항 시기/일시 1869년 4월연표보기 - 정숙 기장 현감 부임
관련 사항 시기/일시 1871년 8월연표보기 - 정숙 기장 현감 퇴임
현 소재지 기장 향교 -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동부리 292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동부리에 있는 개항기 기장 현감 정숙(鄭塾)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

[건립 경위]

정숙은 1869년(고종 6) 4월 기장 현감에 부임하여 1871년(고종 8) 8월 임기 만료로 교체되었다. 정숙 거사비(鄭塾去思碑)는 1870년(고종 7) 기장현의 백성이 세금을 감면하는 선정을 베푼 정숙의 공을 기려 재임 기간 중에 세웠다.

[위치]

정발 거사비는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동부리 292번지에 있는 기장 향교의 동편에 있다

[형태]

석비로서 비신(碑身)과 이수(螭首), 받침돌이 모두 갖추어져 있다. 이수는 세로로 약간 긴 반타원형이며, 좌우에 나선무늬가 새겨진 부분이 2개씩 원형으로 튀어나와 있고 꼭대기에는 보주가 있다. 비문의 글씨는 해서체이다. 비의 크기는 높이 87㎝, 너비 35.5㎝, 두께 11.5㎝이다.

[금석문]

비문에는 큰 글씨로 ‘현감 정후숙 거사비(縣監鄭侯塾去思碑)’라고 비제(碑題)가 적혀 있고, 그 좌우에 “산렴덕만 □식사권 손황은선 일민삼□ 동치구년경오유월 일(刪斂德曼 □殖射券 損況恩宣 一珉三□ 同治九年庚午六月 日)”이라고 새겼다.

[현황]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동부리 기장 향교 동편에 정비해 놓은 공덕비 가운데 하나이다. 부산광역시 기장군청에서 관리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정발 거사비는 조선 시대 기장 현감의 흔적을 알 수 있어 지역사를 복원하는 데 의미 있는 자료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