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2086
한자 任百殷淸德善政碑
영어의미역 Memorial Tablet of Honoring the Virtue of Yim Baekeun
이칭/별칭 행현감 임공백은 청덕선정비
분야 역사/근현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비
지역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동부리 292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김현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비|선정비
관련인물 임백은(任百殷)
재질
크기 115㎝[높이]|44㎝[너비]|18㎝[두께]
건립 시기/일시 1874년 4월연표보기 - 건립
관련 사항 시기/일시 1872년연표보기 - 임백은 기장 현감 부임
관련 사항 시기/일시 1874년연표보기 - 임백은 기장 현감 퇴임
현 소재지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동부리 292

[정의]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동부리에 있는 개항기 기장 현감 임백은(任百殷)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

[건립 경위]

임백은은 기장 현감으로 1872년(고종 9)부터 1874년(고종 11)까지 재임하였다. 임백은 청덕선정비(任百殷淸德善政碑)는 1874년 4월에 향리들이 임백은의 공덕을 기려 세웠다.

[위치]

임백은 청덕선정비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동부리 292번지에 있다.

[형태]

석비로 이수(螭首)는 없고, 사각형의 비신(碑身)과 거북 모양의 받침돌만 있다. 거북 머리 형상의 받침돌 머리에는 음각선으로 눈을 표현하였고, 목 위와 등 부분에는 약간의 음각선을 새겼고, 뒤쪽 꼬리 부분은 양각으로 도드라지게 나타내었다. 비의 크기는 높이 115㎝, 너비 44㎝, 두께 18㎝이다.

[금석문]

비의 앞면에는 ‘행현감 임공백은 청덕선정비(行縣監任公百殷淸德善政碑)’라는 비제(碑題)가 적혀 있고, 뒷면에는 “동치십삼년사월 일 립 좌수 송인곤 이방 김학묵 감역 이완영(同治十三年四月日立 座首 宋仁坤 吏房 金學黙 監役 李完英)[동치 13년(1874) 4월에 세우다. 좌수 송인곤, 이방 김학묵, 감역 이완영]”이라고 되어 있다.

[현황]

기장 향교 동편에 위치하고 있는 공덕비군 중의 하나이다.

[의의와 평가]

임백은 청덕선정비는 임백은의 흔적과 지역사를 복원하는 데 의미가 있는 자료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