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이호준 영세불망비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2079
한자 李鎬俊永世不忘碑
영어의미역 Memorial Tablet of Yi Hojun
이칭/별칭 순상국 이공호준 영세불망비
분야 역사/근현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비
지역 부산광역시 영도구 와치로 213[동삼1동 510-2]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김현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비|불망비
관련인물 이호준(李鎬俊)[1821~1901]
관리자 부산광역시 영도구청
건립 시기/일시 1888년 9월연표보기 - 건립
관련 인물 생년 시기/일시 1821년연표보기 - 이호준 출생
관련 인물 몰년 시기/일시 1901년연표보기 - 이호준 사망
관련 사항 시기/일시 1886년 6월연표보기 - 이호준 경상도 관찰사 부임
관련 사항 시기/일시 1888년 8월연표보기 - 이호준 경상도 관찰사 퇴임
현 소재지 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1동 510-2

[정의]

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1동에 있는 개항기 경상도 관찰사 이호준(李鎬俊)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

[건립 경위]

이호준[1821~1901]은 1886년(고종 23) 6월부터 1888년(고종 25) 8월까지 경상도 관찰사를 역임하였다. 이호준 영세불망비(李鎬俊永世不忘碑)절영도진의 복진(復鎭)에 기여한 공덕을 기려 1888년(고종 25) 9월 절영도의 진속(鎭屬)들이 세웠다.

[위치]

이호준 영세불망비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1동 510-2번지에 있다. 본래 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동 해안 산책로 입구에 있었으나, 태풍으로 말미암은 훼손을 우려하여 지금의 위치로 옮겼다.

[형태]

긴 육각형의 이수(螭首) 꼭대기에 보주가 얹혀 있으며, 앞면에는 연꽃무늬가 음각되어 있다.

[금석문]

비의 앞면에는 ‘순상국 이공호준 영세불망비(巡相國李公鎬俊永世不忘碑)’라는 비제(碑題)와 함께 “진영을 설치하고 다시 복원하시니/ 명을 받아 시행함에 이유가 있었도다/ 조정의 계책을 성실하게 도와서/ 변방 방위의 근심을 몸소 실천하셨네/ 관문의 방비가 안정되어 가면서/ 사람과 토지가 더욱 불어났다네/ 쌓인 포흠을 바로잡아 구하시니/ 그 누가 내리신 은덕이던가?[設鎭復鎭 承宣有由 允協廟籌 克體邊憂 奠安關防 增重人地 積逋矯捄 是誰之賜]”라고 적혀 있고, 뒷면에는 “무자년 9월 절영도 진속들이 세우다[戊子九月日絶影島鎭屬等立]”라고 되어 있다.

[현황]

영도여자고등학교 후문 길 건너편에 있는 3기의 비석 중 하나이다. 부산광역시 영도구청에서 관리한다.

[의의와 평가]

이호준 영세불망비는 경상 관찰사 이호준의 치적을 엿볼 수 있는 자료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